(서울=연합인포맥스) 문정현 기자 = 일본 정부가 엔화 강세 압력에 대응하기 위해 시장에서 '고래'로 불리는 공적연금을 활용할 수 있다는 전망이 부상하고 있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이 28일 보도했다.

최근 달러-엔 환율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대중국 추가 관세 발표에 한때 104엔대로 추락했다. 달러-엔 환율이 하락하면 달러 대비 엔화 가치는 오른다.

현재 미국에서는 트럼프 정권이 달러 약세를 재촉하는 움직임이 이어지고 있다. 미·중 무역전쟁으로 경기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연방준비제도(연준·Fed)에 추가 금리 인하를 압박하는 상황이 펼쳐지고 있다.

일부에서는 미국 정부가 달러 매도 개입을 단행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3일 트위터를 통해 "우리는 매우 강한 달러와 매우 약한 연준을 가지고 있다"며 "이 둘에 훌륭하게 대응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미쓰비시UFJ은행은 해당 발언에 대해 "금리 인하에 애매한 태도를 나타내고 있는 연준을 단념하고 달러 매도 개입이란 직접적인 수단을 취하는 것 아닐까"라고 추측했다.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한 것도 환시 개입 때 이를 정당화하기 위한 복선일 수 있다는 분석이다.

과도한 엔화 강세는 수출기업이 많은 일본경제에 타격을 주고 일본은행의 2% 물가 목표 달성을 어렵게 한다. 하지만 재무성과 일본은행이 2011년을 마지막으로 중단한 엔화 매도 개입을 단행하리라고 보는 시장참가자들은 적다.

미·일 무역협상 때 미국의 반발을 초래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공적연금인 연금적립금관리운용독립행정법인(GPIF)이 활용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GPIF의 운용 자산은 160조 엔(약 1천832조5천억 원)에 달하며, 자산 구성비중(포트폴리오) 기준은 국내 채권 35%, 국내 주식 25%, 해외채권 15%, 외국 주식 25%다.

시장 참가자들이 주목하는 부분은 해외채권이다. 6월 말 현재 운용 규모는 약 29조 엔(332조 원)으로 비중은 기준을 3%포인트 초과한 18%에 달한다. 작년 3월부터 5조 엔(57조 원) 넘게 늘어났다.

해외채 투자는 대규모 엔화 매도가 동반되기 때문에 엔화 강세 압력을 누그러뜨리는 효과가 있다.

크레디아그리콜은행은 GPIF가 2020년 봄까지 재검토하는 기본 포트폴리오와 관련 "현재 엔화 환율을 볼 때 해외채 비중을 높일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노무라증권도 해외채 비중이 20%대 초반까지 높아질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신문은 아베 정권이 지난 2014년 채권 중심의 GPIF 운용 전략을 재검토해 주식 비중을 50%까지 끌어올린 것은 주가를 밀어올리려는 의도가 있었다며, 엔화 강세를 시정하기 위해 GPIF를 다시 움직일 가능성이 없지 않다고 판단했다.

jhmoon@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10시 18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