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송하린 기자 = 온라인투자연계금융업법(P2P금융) 시행으로 올해부터 P2P금융이 제도권금융으로 진입을 앞두고 있으나, 여전히 대안금융 역할로 미흡하다는 지적이 적지 않다. 국내 P2P금융의 경우에는 유독 부동산대출이나 단기대출에 대한 쏠림현상이 심하기 때문이다.

3일 금융권 등에 따르면 국내 P2P금융이 중소기업대출에 기여하는 비중은 크지 않다. 한국P2P금융협회 공시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말 기준 소비자(개인)대출, 소비자담보대출, 소상공인과 소기업 중심의 법인대출, 소기업담보대출 등이 전체 누적대출금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각각 2.9%, 1.4%, 0.9%, 14%에 그친다.

부동산대출은 전체 누적대출액 중 차지하는 비중이 62.5%에 달한다.

중국, 미국, 영국의 부동산대출이 지난 2015년 기준 각각 5.6%, 2.7%, 25.4%인 것에 비하면 한국 P2P금융은 부동산대출에 치우쳐져 있는 게 현실이다.

실례로 해외에서는 P2P금융이 은행 대출에서 밀린 중소기업에 대출해주는 대안금융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영국 펀딩서클은 중소기업 대출을 강화하고 있다. 영국의 시중은행들이 중소기업대출을 지난 2011년부터 2018년까지 12%가량 줄이는 와중에도 중소기업 대출을 오히려 강화한 덕분이다.

국내 P2P금융의 경우 해외 P2P금융과 달리 대출기간이 짧다는 점도 한계다. P2P금융의 대출이 중소기업에 대안금융으로서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안정적으로 자금을 공급해주는 장기대출의 비중을 늘려야 한다.

오세경 건국대 경영대 교수에 따르면 국내 P2P대출의 대출 기간은 평균 14.6개월로, 미국 랜딩클럽의 36개월~60개월이나 영국 펀딩서클의 24개월~60개월에 비해서 터무니없이 짧다.

P2P업계의 한 관계자는 "투자자들이 짧은 만기를 선호해 만기가 짧아야 마감이 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국내에서 P2P금융은 애초에 짧은 만기 위주로 시장이 형성된 측면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렇다 보니 P2P금융이 아직 시장에서 신뢰를 확보하지 못한 실정이다. 플랫폼 자체에 대한 신뢰가 부족하다 보니 투자자의 입장에서도 담보가 있는 상품을 선호할 수밖에 없고, 만기가 길어지는 것에 관해 부담을 느낄 수밖에 없다는 설명이다.

P2P업계의 다른 관계자는 "P2P금융이 자리를 잡아 안정적인 산업이라는 인식을 갖게 되면 신용상품과 장기상품에 대한 투자자도 늘어날 것"이라고 내다봤다.

전문가들도 P2P대출 플랫폼에 대한 신뢰를 높일 환경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한 경제학과 교수는 "P2P대출 플랫폼은 위험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고, 정책적으로는 투자자들이 소기업의 정보 데이터를 쉽게 활용할 수 있는 정보환경 등을 만들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hrsong@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13시 30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