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이현정 기자 = 코스닥 상장을 추진하는 티몬이 IPO(기업공개)를 위한 준비 작업에 착수했지만 시장 분위기는 싸늘하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금융시장 변동성이 확대되면서 IPO 시장 자체가 위축된 탓도 있지만, 매년 수천억원의 적자를 낸 티몬에 대한 기업가치 산정에 대한 불확실성도 여전하기 때문이다.

3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티몬은 IPO 주관사 선정을 위해 국내 주요 증권사에 입찰제안요청서(RFP)를 보냈다.

하지만 IPO 주관 실적이 괜찮은 NH투자증권, 한국투자증권, 미래에셋증권 등 대형 증권사들은 모두 제안서를 내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 최근 진행된 증권사별 프레젠테이션(PT)에는 기존에 자문 역할을 해 오던 삼성증권과 대신증권 등 2∼3곳 정도만 참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티몬은 내년께 코스닥 상장을 통해 4천억원 이상의 자금을 조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는데, 이럴려면 기업가치를 조 단위로 평가 받아야 한다.

내외부에서 대략적으로 평가하는 티몬의 기업가치는 약 1조5천억원 수준인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실질적인 기업 외형과 성장성 및 수익성 등을 고려할 때 실제 그 정도 수준의 기업가치를 받을 수 있는지에 대한 이견이 많다.

대형 증권사들이 '대어'가 될 수 있는 기업의 주관사 선정에 소극적인 것도 이런 점이 고려된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IB 업계 관계자는 "티몬이 목표로 하는 기업가치와 시장에서 판단하는 수준 사이에 상당한 괴리가 존재한다"며 "목표 조달금액을 맞추는 게 현실적으로 쉽지 않아 보인다"고 말했다.

티몬은 매년 대규모 적자를 지속하고 있다.

2018년 연결재무제표 기준으로 매출은 5천6억원이었지만 영업적자는 1천278억원에 달한다.

자본금은 약 60억원인 반면 자본총계는 마이너스 4천346억원으로 완전자본잠식 상태다.

티몬이 코스닥 상장을 추진하는 것도 이런 점을 고려했기 때문이다.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하려면 자기자본 300억원 이상, 상장주식 100만주 이상 등의 규모 요건과 경영성과 요건 등을 맞춰야 하는데 사실상 충족하기 어렵다.

이에 따라 상장 요건을 완화해주는 특례상장제도(테슬라 요건)를 고려하게 된 것이다.

직전 연도 매출 30억원 이상에 최근 2년간 평균 매출 증가율 20% 이상, 공모 후 자기자본 대비 시가총액 200% 이상 등을 충족하는 적자기업은 특례를 받을 수 있다.

물론 상장 후 3개월 내 주가가 하락하면 주간사가 공모가의 90% 가격으로 공모 물량을 다시 사줘야 하는 풋백옵션(환매청구권) 의무 조항도 있다.

상장 후 주가가 하락할 경우 주관사의 부담이 커지는 셈이다.

티몬이 최근 코로나19 사태의 반사이익으로 처음으로 월 기준 흑자를 내기도 했지만 향후 실적과 성장성에 대한 우려는 여전히 남아 있다.

티몬은 지난달 상각전영업이익(EBITDA)이 1억6천만원을 기록하면서 창사 10년 만에 처음으로 흑자를 냈다.

회사 측은 지난해 4분기 이후 손실 개선 흐름이 지속하고 있어 올해 2분기와 3분기에도 흑자를 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하지만 이커머스의 경쟁이 갈수록 심화하고 물적 인프라에 대한 투자가 지속해여 한다는 이유에서 수익성이 가파르게 개선되는 데는 한계가 있을 것이란 지적이 많다.

티몬이 상장을 추진하는 이유 중 하나는 콜버스크래비스로버츠(KKR)와 앵커에쿼티파트너스 등 외국계 주주들의 엑시트(Exit)를 위한 방편인 측면도 있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주요 주주들의 자금회수 목적의 IPO일 가능성이 크다"면서 "성장성과 수익성 개선에 대한 확신이 크지 않은 상황에서 IPO를 통해 새로운 투자자를 확보하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고 말했다.

hjlee@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09시 53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