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이수용 기자 = 최근 증권업계 시스템리스크의 잠재위험이 꾸준히 증가하면서 스트레스테스트 등 이를 관리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효섭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22일 '증권업 시스템리스크 진단 및 대응과제'를 통해 "증권업의 시스템리스크 잠재위험은 당장 우려할 수준은 아니나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 관련 위험을 줄이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국내 증권사에서는 주가연계증권(ELS), 파생결합증권(DLS) 헤지운용, 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 발행 등 업무를 늘리며 관련 차입 부채도 빠르게 증가했다.

자본연에 따르면 2019년 말 국내 증권사의 차입 부채 규모는 322조원으로 2010년 말 117조원의 2.8배다.

또한 차입 부채의 만기는 짧아지고 보유자산의 만기가 길어지면서 유동성 위험에 노출될 가능성이 커졌다.

또한 금융투자상품의 수요 증가로 증권사 건전성 위험도 악화했다.

증권사 순자본비율(NCR)은 최근 10년간 557%에서 381%로 지속해서 하락했다. 동시에 레버리지 비율도 551%에서 837%로 급증했다.

한편, 그림자금융도 빠르게 증가하며 시스템리스크 위험 요인으로 지목받았다.

그림자금융은 신용 창출 기능을 수행하지만, 은행업 규제를 받지 않는 금융상품이나 기관을 뜻한다.

2018년 말 국내 그림자금융 규모는 8천400억달러로 2006년 대비 192% 증가했다.

이 연구위원은 "ELS·DLS, 단기자금시장, 부동산 관련 채무보증 부문에서 시스템리스크로 확대될 가능성을 예상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ELS·DLS 헤지 운용에서 대규모 손실 발생 시 마진콜 위험에 노출되며 원화 단기자금시장과 외환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될 수 있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등 예상치 못한 위기 상황에서 특정 증권사가 유동성 위험에 노출되면 단기자금시장과 채권시장을 통해 타 금융사로 위험이 연계될 수 있다.

또한, 부동산 채무보증 손실이나 ABCP 차환 위기로 부동산 자산을 매각하면 부동산 자산가격 급락으로 이어져 타 금융사들이 연쇄 손실을 기록할 수 있다고 이 연구위원은 내다봤다.

이 연구위원은 "그림자금융의 건전한 발전을 유도할 필요가 있다"며 "증권업 전체적으로 대규모 손실을 기록하지 않도록 위험관리 역량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과거 위기상황 발생 시점을 기초로 주식, 채권, 외환, 단기자금, 파생상품 시장의 충격에 따른 스트레스테스트를 정례화하고 결과를 감독 당국과 공유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그는 "위기상황 시나리오를 체계적으로 설정하고 개별 시나리오마다 예상 손실 및 차환 수요를 파악해 대응할 수 있는 순 유동성 자산을 보유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 연구위원은 이어 단기자금시장의 상황별 유동성 지원정책,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신용위험 증가에 따른 충당금 적립 현황 모니터링 등을 제안했다.

sylee3@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13시 26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