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르면 이번주 ELS 규제방안 발표



(세종=연합인포맥스) 최욱 최진우 기자 = 앞으로 증권사가 자체헤지(Hedge)하는 방식으로 해외 주가지수를 기초로 주가연계증권(ELS)을 발행할 경우에는 일정 비율로 달러화나 달러화로 바꾸기 쉬운 미국 국고채 등을 보유해야 한다.

ELS 기초자산인 해외지수 급락 등으로 발생할 수 있는 '마진콜(증거금 추가납입 통지)' 사태에 대비하기 위해서다.

21일 금융당국과 금융투자업계 등에 따르면 정부는 이와 같은 방안을 담은 'ELS 건전성 규제 방안'을 이르면 이번 주 중으로 발표할 계획이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해외지수 변동성에 따른 증거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라며 "달러화나 달러로 쉽게 바꿀 수 있는 미국 국고채를 발행액 대비 일정 비율로 보유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자산의 구체적인 보유 비율 등 세부사항은 기획재정부와 금융위원회 등 관련 부처의 논의를 거쳐 결정될 예정으로 알려졌다.

이와 같은 방식은 좁은 의미에서 외화 유동성 커버리지 비율(LCRㆍLiquidity Coverage Ratio)과 유사하다. 발행 주체가 아닌 ELS라는 금융상품에 한정하긴 했지만, 외화 유출 가능성을 대비한다는 데 방점이 찍혀 있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국내 은행에 적용하는 외화 LCR은 앞으로 30일간 순외화유출 대비 고유동성 외화자산의 비율을 의미한다. LCR 비율이 80%라면 예상 외화 순유출이 10억달러시 8억달러 이상은 달러 또는 미국 국고채 등 고유동자산으로 보유해야 한다.

금융위의 이러한 처방은 지난 3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국내 자금시장이 교란된 데 따른 것이다.

당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ELS의 기초자산인 해외지수가 큰 폭으로 하락하자 국내 증권사에 마진콜이 밀려들었다.

이에 증권사는 달러를 사들이기 위해 보유하고 있는 기업어음(CP)과 채권 등을 시장에 투매해 자금을 마련했다. 증권사의 투매로 국내 CP의 금리가 연일 치솟는 등 단기자금시장은 불안정해졌다. 1%대 중반이었던 만기 91일짜리 CP 금리는 2%대까지 치솟았다.

이것만으로 부족한 증권사는 대규모 CP 발행도 병행하기 시작했다. 대표적인 곳이 ELS 자체 헤지 비중 80%에 달하는 삼성증권이었다.

삼성증권은 지난 3월 3일 1천400억원을 시작으로 같은 달 19일까지 1조원의 CP를 찍었다. 그간 자금 조달로 CP 창구를 활용하지 않던 것과 대조적이었다.

삼성증권만 아니라 미래에셋대우와 한국투자증권 등 ELS 발행 '빅 이슈어'들은 이와 같은 방식으로 조달한 자금으로 달러를 사는 데 집중했다. 그 결과, 달러 수급 불안이 나타났고 달러-원 환율은 3월 한때 1,300원 선도 위협했다.

같은 기간 통화스와프(CRS)도 마이너스(-)로 폭락한 뒤 회복하지 못했다. 마이너스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처음이었다. 그만큼 웃돈을 주고서라도 달러를 확보하겠다는 심리가 확산한 탓이다. 이후 달러-원 환율은 한국과 미국이 600억달러 규모의 통화 스와프를 체결하면서 점차 안정되기 시작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사태는 금융당국 입장에서 많은 숙제를 안겼다.

그간 은행권 규제인 외환 건전성 3종 세트를 중심으로 국제금융시장 안정에 심혈을 기울였지만, 비은행권인 '증권사'라는 예상하지 못한 변수에 한계점을 고스란히 노출했기 때문이다.

기재부도 국제금융국을 중심으로 비은행권 외환규제에 대한 전면 재검토에 돌입한 상황이다. 김성욱 기재부 국제금융국장은 지난 5월 26일 연합인포맥스 세미나에서 "상황이 안정 단계로 가면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외환 건전성 3종 세트를 도입했듯, 제도ㆍ시스템상 부족했던 점을 찾아 시스템을 업그레이드하겠다"고 말했다.

wchoi@yna.co.kr

jwchoi@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2시간 더 빠른 08시 54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