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이수용 기자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한 금융시장 충격 이후 증권사에서 적극적으로 유동성 관리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이석훈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6일 '코로나19로 인한 증권업의 유동성 이슈와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코로나19와 같이 금융시장은 급격히 악화할 수 있으므로 증권사들은 항시적으로 스트레스 상황을 고려한 유동성 관리에 임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간 증권업종은 다양한 금융투자상품을 취급하면서 보유 자산이 늘어나 금융시장과의 연계가 커져 왔다.

이에 증권사들이 대규모로 자산을 매각하면 금융시장에 커다란 충격을 줄 뿐 아니라, 불안정한 금융시장으로부터 자금 조달의 영향을 받게 될 가능성도 증가했다.

그 가운데 지난 3월 코로나19 확산으로 금융시장 유동성이 급격히 축소됐고, 증권사에서는 유동성 자금이 기대 이상으로 부족한 모습을 보였다.

이 연구위원은 "증권사들은 레포 시장에서 이미 담보할 수 있는 자산을 대부분 활용하고 있었기 때문에 추가로 자금을 조달하기는 어려웠다"며 "다만, 채권 대차 시장을 통해 차입한 국채로 레포 시장에서 유동성을 일부 확보할 수 있던 것으로 나타났다"고 분석했다.

이어 그는 "유동성 부족이 매우 심했던 3월 중하순에는 단기사채와 기업어음(CP)을 통한 자금 조달이 어려웠고 조달 규모도 유동성을 메우는 데 충분하지 못했다"며 "단기사채나, CP, 자산담보부 기업어음(ABCP)/유동화 단기사채(ABSTB) 등은 금융시장 불확실성에 대해 매우 민감한 자금 조달 채널임을 확인했다"고 지적했다.

이에 이 연구위원은 "증권사들은 불안정한 금융시장에서 자금을 추가로 조달할 수 있는 방안들을 준비해 두는 것도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고 덧붙였다.

금융당국에는 증권사에 대한 유동성 규제방안을 마련할 것을 주문했다.

다만, 이 연구위원은 "획일적인 규제는 유동성 위험을 최소화하는데 요구되는 규제 수준을 과도히 높여 제반 비용을 증가시킬 수 있다"며 "유동성 이슈가 파생결합증권 마진콜과 관련해 불거진 만큼 이를 최대로 고려한 규제방안을 검토해야 할 것"이라고 제언했다.

sylee3@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15시 26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