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대 금융지주 회장 등 50여명 전략회의 참여



(서울=연합인포맥스) 정지서 기자 = 금융지주 회장 등 국내에서 내로라하는 금융권 최고경영자(CEO)가 청와대를 찾아 '한국판 뉴딜'을 위해 머리를 맞댄다.

31일 정부 관계부처 등에 따르면 이번주 청와대에서 한국판 뉴딜을 위한 첫 전략회의가 열린다.

이날 회의에는 김광수 농협금융지주 회장, 김기홍 JB금융지주 회장, 김정태 하나금융지주 회장, 김지완 BNK금융지주 회장, 김태오 DGB금융지주 회장, 손태승 우리금융지주 회장, 윤종규 KB금융지주 회장, 조용병 신한금융지주 회장 등 민간 금융회사 CEO 13명이 참석한다.

이동걸 산업은행장과 윤종원 기업은행장, 방문규 수출입은행장 등도 정책금융기관 대표로 자리한다. 정부 측에서는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은성수 금융위원장을 비롯해 청와대 관계자가 자리할 예정이다.

그 밖에 윤석헌 금융감독원장을 비롯해 기재부·금융위·과기부·산업부 등 정부 부처 관계자, 6개 금융협회장 등도 온라인을 통해 참여한다.

이날 회의에서는 뉴딜 펀드 도입과 한국판 뉴딜을 촉진하기 위한 종합적인 금융지원 세부 방안이 논의된다.

뉴딜 사업을 지원하는 정책 펀드는 물론 앞서 선보인 '필승코리아 펀드'와 유사한 민간 공모펀드, ESG 지수와 유사한 개념의 '뉴딜 지수' 운영 등을 이야기할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회사 수장이 대거 참여하는 만큼 민간 시장에서 이른바 '뉴딜 금융'을 공급할 이들의 사례도 공유할 것으로 보인다.

이미 대형 금융지주들은 정부 정책에 발맞춰 핀테크 육성과 디지털 인프라 구축, 친환경 사업 투자 등으로 구성한 뉴딜 금융 공급 계획을 마련한 상태다. 신한금융은 향후 5년간 85조원을 공급하고 하나·우리금융 10조원, KB금융 9조원, 그리고 농협은행은 8조원을 투자한다.

특히 이날 회의에선 민간 금융회사가 직접 목소리를 낼 수 있는 토론 시간도 마련한 것으로 전해진다.

청와대가 직접 민간 금융회사 CEO와의 소통에 나선 것은 5개월 만이다.

문재인 대통령과 5대 금융지주 회장·국책은행장은 지난 4월 긴급 금융지원 현장간담회를 열었다. 당시 회동은 문 대통령이 취임 이후 금융권 수장을 처음으로 직접 찾았다는 점에서 이목을 끌었다.

이번엔 다수의 금융권 CEO가 청와대를 방문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금융권을 향한 청와대의 러브콜이 잦아지면서 문재인 정부 초기 제기된 금융 홀대론도 사라졌다. 2018년 문 대통령의 인도·싱가포르 국빈 방문 일정에 금융지주 회장과 시중 은행장이 경제사절단으로 대거 참여하며 신남방정책의 한 축을 금융이 담당하면서부터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는 금융의 위상이 제고되는 직접적인 계기가 됐다는 평가도 나온다.

물론 일부에선 금융을 향한 정부의 동원령이 지나치다는 지적도 있다. 코로나19와 같은 국가적 위기에 대응하고자 대출만기 연장, 이자 상환 유예와 같은 포퓰리즘 정책이 쏟아지며 금융회사에 국가의 부실이 전가될 수 있어서다. 민간 금융회사가 뉴딜 정책의 자금 공급책으로 나서는 것도 같은 맥락으로 해석되고 있다.

이런 지적에 금융당국은 1997년 IMF 외환위기 당시 169조원의 공적자금 지원부터 최근 코로나19를 이유로 공급된 유동성 등 정부의 지원으로 시장 안정의 간접적인 혜택이 금융권에 돌아갔음을 강조한다. 한국판 뉴딜 정책에 참여하는 것 역시 빅테크와의 경쟁에 대비해 새로운 수익원을 찾는 과정과 맞물려 있다는 입장이다.

정부 관계자는 "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재확산해 현장 참석자를 최소한으로 하고자 화상 콘퍼런스 형식을 선택한 것"이라며 "성공적인 한국판 뉴딜 정책을 위해선 민간 금융회사의 참여가 중요한 만큼 이날 논의 역시 민간 중심으로 진행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jsjeong@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08시 55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