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F 연합 지분 11%…NPS·日 주주 넘어섰다



(서울=연합인포맥스) 정지서 기자 = 신한금융지주가 사모펀드(PEF)를 내세워 본격적인 지배구조 개편에 나섰다.

이는 오랜 시간 일본 주주와 BNP파리바로 대표돼온 전략적 우군의 세대교체다. 국민연금과 같은 기관투자자의 적극적인 의결권 행사가 빈번해진 상황에선 전략적으로나 정무적으로 우군 확대가 중요해졌다.

7일 금융권에 따르면 어피니티에쿼티파트너스(AEP·이하 어피티니)와 베어링프라이빗에쿼티아시아(BPEA·베어링PEA)는 내년 3월 신한금융 주주총회에서 사외이사 1명씩을 추천할 예정이다.

어피니티와 베어링PEA는 이번 1조1천582억 규모(3천913만주)의 유상증자에 참여하며 각각 4% 안팎의 지분을 보유하게 됐다.

신한금융은 지난해 5월 IMM PE를 주주로 영입하며 지배구조 개편의 신호탄을 쐈다. 당시 IMM PE는 7천500억원 규모의 전환우선주를 인수하며 약 3.7%(당시 추정치)의 지분을 확보했다.

우리금융지주 과점주주(지분율 6%)인 IMM PE의 국내 금융주에 대한 관심은 새롭지 않았다. 하지만 신한금융에 IMM PE는 2001년 BNP파리바와 손잡은 지 18년 만에 영입된 새로운 전략적 투자자였다.

현재 BNP파리바(3.55%)의 지분율은 역대 최저다. 한때 최대 주주로 9% 넘게 지분을 보유했지만, 이제는 전략적 관계를 위한 최소한의 지분만 유지하고 있다.

글로벌 금융그룹 BNP파리바와 잡은 손이 선진 자본을 배울 수 있는 기회로 여겨지던 시절도 있었다. 하지만 신한BNP파리바자산운용이 KB자산운용 등 다른 은행지주 계열 운용사보다 뒤처지는 배경으로 조인트벤처(신한 65%·BNP 35%)의 한계를 지적하는 목소리도 크다.

이번 유상증자 규모는 의결권 있는 보통주의 8% 정도다. 그만큼 기본 주주의 지분 가치는 희석될 수밖에 없다.

이를 고려하면 전략적 투자자인 PEF 3곳의 지분율의 총합은 11%를 넘어선다. 최대 주주인 국민연금(9.95%)을 웃도는 규모다. 특히 PEF 연합의 지분율이 일본 주주 비중을 넘어설 가능성이 있다는 점은 신한금융에 의미하는 바가 크다.

개인투자자로 분류되는 일본 주주 지분율에 대한 공식적인 통계는 없다. 하지만 금융당국은 과거 20% 중반에 육박했던 이들의 비중이 현재는 10% 안팎까지 줄어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그룹 사장단이 매년 2월 초 일본으로 건너가 간친회(재일교포 대주주 원로 모임)와 회동할 정도로 일본 주주는 신한금융에 상징적인 의미가 강했다. 지난해 수출규제 등 일본과의 지정학적 문제가 발생할 때도 민간의 영역에서 소통창구를 마련했던 곳도 신한금융이다.

하지만 창립 정신과 상징성만을 내세워 대우하기엔 주주 비중이 눈에 띄게 줄었다. 현재 대부분의 일본 주주도 재일교포 3세다.

앞서 금융감독원이 재일교포 주주가 추천하는 사외이사를 선임했던 신한금융의 관행을 경영실태평가에서 지적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금감원의 지적 이후 신한금융은 40%에 육박했던 이사회 내 재일교포 출신 사외이사 비중을 줄였다.

이에 따라 전략적 우군을 새롭게 영입한 신한금융의 내년 이사회 구성원에는 적잖은 변화가 초래될 것으로 보인다.

정관상 신한금융은 15인 이내로 이사회를 구성해야 한다. 현재 이사회는 사내이사(1명)와 기타비상무이상(2명), 사외이사(10명) 등 총 13명이다. PEF 2곳이 추천할 신임 사외이사가 영입되면 정관상 최대 구성원이 된다. 사외이사 10명 중 재일교포 출신은 4명(박안순·진현덕·최경록·히라카와유키)이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재일교포 출신 사외이사에 대한 문제는 한차례 지적을 했던 만큼 신한금융도 충분히 인지하고 있을 것"이라며 "경영참여형 PEF의 사외이사 추천은 법상 의무다. (자본시장을) 잘 아는 인물이 추천되지 않겠느냐"고 내다봤다.





jsjeong@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13시 40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