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이미란 기자 = 미국 전기자동차 회사 테슬라의 최고경영자(CEO) 일론 머스크가 배터리 거래처인 LG화학 등으로부터 구매물량을 늘리겠다고 밝히면서 글로벌 배터리 시장 강자인 한국 업체들이 일단 안도하는 분위기다.

그간 테슬라가 배터리 데이에서 배터리 자체 생산 계획을 밝히거나, 중국 최대 배터리 업체 CATL과 단독 제휴할 수 있다는 전망이 제기됐지만 과장된 우려였다는 평가가 나온다.

오히려 머스크가 언급했듯 향후 몇 년간 전기차 수요가 급격히 늘면서 한국 배터리 업체에 호재가 될 전망이다.

머스크는 새로운 기술을 공개하는 '배터리 데이' 행사를 하루 앞둔 21일(미국 현지시간) 자신의 트위터 계정을 통해 "우리는 파나소닉과 LG, CATL 같은 협력사로부터 배터리 구매물량을 줄이지 않고 늘릴 작정"이라는 글을 올렸다.

또 머스크는 배터리 데이 때 전기 트럭 세미나 사이버 트럭, 로드스터 등의 장기 생산에 영향을 줄 중요한 내용이 공개될 것이라고 소개했다.

이어서 그는 구체적인 내용을 언급하지는 않은 채 "오는 2022년까지 다량의 생산에 이르지는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테슬라의 배터리 데이 행사는 이 회사가 새로 개발한 배터리 기술과 생산 계획 등을 공개하는 자리로, 세계 배터리·전기차 업계의 판도를 바꿀 혁신적 내용이 나올지 전 세계 자동차 업계와 주식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다.

테슬라는 그간 CATL과 제휴해 수명을 160만㎞ 수준으로 크게 늘린 '100만 마일 배터리'를 개발해온 것으로 알려져 이번에 선보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거론돼왔다.

특히 테슬라가 LG화학, 파나소닉 등과의 거래 관계를 끊고 CATL과 단독 제휴하거나 자체 배터리 생산(내재화)에 나서겠다고 밝힐 경우 국내 배터리 업계에는 악재가 될 것이라는 우려가 나왔다.

테슬라가 자체 배터리 생산에 돌입하면 기존에 거래해온 배터리 업체들에는 큰 타격이 될 수밖에 없다.

그러나 이날 머스크의 발언으로 테슬라가 당분간은 기존 배터리 업체들과의 협력관계를 더욱 공고히 하는 쪽에 무게가 실린다.

전기차 수요의 폭발적인 증가를 배터리 공급이 따라가지 못하는 데 따라 테슬라가 자체 개발에 나서는 것은 물론 기존 배터리 업체들과의 협력관계를 더욱 공고히 하겠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고정우 NH투자증권 연구원은 "머스크의 발언으로 배터리 업체들과의 보완적 협력을 강화하겠다는 전략이 확인됐다"며 "테슬라는 지난해 4분기 이후부터 콘퍼런스 콜을 통해 LG화학, CATL, 파나소닉 등 배터리 업체들과의 협력 강화를 지속해서 강조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고 연구원은 "전기차 생산거점 확대와 가상발전소(VPP) 구축 등 테슬라의 사업 추진 전략을 살펴볼 때 배터리 구매 확대는 기정사실이나 다름없다"고 덧붙였다.

업계에서는 또 테슬라가 배터리 데이에서 원가 절감 방안을 발표하고, 이에 더해 자체적인 배터리 생산 가능성을 내비칠 것으로도 보고 있다.

머스크는 이날 트윗에서 "우리 스스로 행동에 나서지 않을 경우에는 배터리 공급사들이 최대한의 속도를 내더라도 2022년 이후에는 중대한 물량 부족이 예상된다"며 자체적인 배터리 생산 의사를 드러냈다.

다만 이 경우에도 실제 배터리를 자체 생산하기까지 어려움이 예상된다.

테슬라는 현재 독일 베를린과 미국 텍사스에 기가팩토리를 구축하고 있으며, 자율주행 기술 개발과 신재생에너지 사업 등에도 대규모 투자를 집행하고 있다.

기존 사업에 대한 투자가 우선인 상황에서 배터리 설비 투자는 신중하게 접근할 수밖에 없다.

배터리 데이에서 공개할 배터리 원가 절감 방식으로는 배터리 단가에서 비중이 큰 코발트나 니켈 비중을 낮추거나 다른 물질로 대체하는 방안이 거론된다.

CATL의 리튬인산철(LFP) 배터리가 원가가 높은 코발트를 쓰지 않는 배터리로, 현재 테슬라의 모델3 중국 출시 모델에 공급되고 있다.

LFP 배터리는 다만 에너지 밀도 한계가 있어 CATL은 LFP에 망간을 추가한 LFMP 배터리를 개발하고 있다.

박연주 미래에셋대우 연구원은 "배터리 가격을 낮출 수 있다면 사이버 트럭과 같은 대용량 전기차도 경제성 있게 생산할 수 있다"며 "전기차 경제성 확보가 2~3년 내로 앞당겨질 수 있다"고 말했다.

mrlee@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14시 07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