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이윤구 기자 = 미중 분쟁 장기화에 대비하기 위해 글로벌 원부자재 조달 및 수출전략을 재정비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11일 한국무역협회가 발표한 '미중무역분쟁의 최근 흐름과 중국 수입시장의 영향'에 따르면 올해 7월까지 중국의 대미 추가 수입 실적은 예정된 목표액의 48.1%에 불과한 것으로 추정됐다.

중국이 미중 1차 합의에 따른 1년 차 대미 수입목표인 1천735억달러(중국통계 기준)를 매월 균등하게 수입한다고 가정했을 경우의 목표액이다.

올해 초 미중 1단계 합의는 2020~2021년까지 2천억달러 규모의 대미 구매확대를 주요 내용으로 한다.

중국의 목표달성이 미흡한 원인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수요하락과 인위적인 수입선 전환의 한계 등으로 풀이된다.

중국은 농산물 및 에너지의 대미 수입을 전년보다 50.3%와 7.9% 늘렸지만, 화웨이 제재 등 미국의 수출통제와 코로나19 등 영향으로 공산품의 대미 수입은 11.6% 감소했다.

그간 중국의 대미 보복관세에 따른 미국산의 가격경쟁력 하락과 올해 남은 기간이 길지 않은 점 등을 고려하면 미중 합의 이행 1년 차인 올해 말까지 수입확대 목표 이행은 사실상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이에 무역협회는 "전방위적인 미중 갈등의 장기화에 대비해 대중국 원자재 수출 감소, 화웨이 등 중국기업과의 거래여부, 중국 내 한국기업의 수출입 영향, 미국의 대중국기업 제재 확대 가능성 등 글로벌 거래를 둘러싼 전반적인 조달 및 수출구조를 재점검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예컨대 지난 8월 미국 상무부가 내놓은 화웨이 제재안에 따라 화웨이와 직접 교역하지 않는 국내 기업들도 납품처를 포함한 전체 공급망을 재점검해야 할 필요가 생겼기 때문이다.

이원석 무역협회 통상지원센터 수석연구원은 "미국이 화웨이 제재에 이어 중국의 반도체 제조업체 SMIC에 대한 제재를 가할 것으로 알려지는 등 미국의 대중국 견제 대상은 앞으로도 확대될 수 있다"며 "중국 역시 사안별로 미국에 보복 조치를 취할 수 있는 만큼 미중 관계에서 추가적인 갈등 이슈가 언제든 불거질 수 있다고 전제하고 관련 리스크에 대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yglee2@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11시 00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