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이미란 기자 = 현대자동차가 코나 전기차(EV) 7만7천대에 대한 리콜에 나서면서, 코나EV에 배터리를 공급한 LG화학이 비용을 분담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업계에서는 코나EV 리콜에 따른 LG화학의 충당금 규모가 약 3천억~4천억원대로, 에너지저장장치(ESS) 화재 때와 비슷한 규모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리콜 과정에서 배터리 모듈 단위 교체가 아니라 팩 단위 교환이 이뤄질 경우 충당금 규모는 급격히 커질 수 있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는 2017년 9월부터 올해 3월까지 제작된 코나EV 7만7천여대를 리콜한다.

현대차가 코나EV 리콜에 들어가는 것은 2018년 5월부터 국내외에서 총 13건의 코나EV 화재 사고가 발생한 데 따른 것이다.

업계에서는 코나EV 리콜에 따라 LG화학이 분담할 수 있는 비용을 약 3천억~4천억원대로 보고 있다.

코나 한 대당 배터리 용량은 64kwh로, 배터리 단가를 kwh당 150달러로 가정하면 7만7천대에 대한 리콜 비용은 8천억원에 조금 못 미친다.

이를 현대차와 LG화학이 절반씩 부담하면 LG화학은 3천억원대의 충당금을 쌓아야 한다.

이런 충당금은 LG화학이 ESS 화재로 지난해 반영한 일회성 충당금 4천240억원과 비슷한 규모다.

이지연 신영증권 연구원은 "LG화학이 분담할 리콜 비용은 최대 약 3천930억원으로 크지 않다"며 "LG화학은 이미 매년 매출액의 1.5~2%를 충당금으로 반영하고 있다"고 말했다.

LG화학이 실제 부담하는 금액은 업계에서 전망하는 실제 리콜 대수가 대상 차량의 10% 안팎인 점을 고려하면 3천억원대에 크게 못 미칠 가능성도 있다.

또 코나EV 화재의 원인이 LG화학보다 현대차 쪽에 있는 것으로 밝혀지면 LG화학의 부담은 더욱 줄어들 수 있다.

현재까지는 화재의 책임 소재가 현대차인지, LG화학인지 명확히 파악되지 않고 있다.

자동차안전연구원의 결함조사 결과는 배터리셀 제조 공정상 품질 불량으로 양(+)극판과 음(-)극판 사이에 있는 분리막이 손상돼 내부 합선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SK이노베이션이나 중국 CATL이 제조한 배터리셀이 탑재된 코나EV는 화재가 발생하지 않았다는 점도 LG화학에 불리한 지점이다.

LG화학의 배터리셀이 적용된 쉐보레 볼트 차량도 화재가 발생하며 미국 도로교통안전국(NHTSA)이 조사에 나선 상태다.

LG화학의 코나EV 탑재 배터리셀은 중국 난징(南京) 공장에서 제조됐는데, 2018~2019년 화재로 문제가 된 ESS 역시 같은 공장에서 만들어진 바 있다.

이에 대해 배터리 제조사인 LG화학은 현재 정확한 원인이 규명되지 않아 배터리 문제라고 규정할 수 없다고 반박했다.

업계에서는 현대차가 코나EV의 주행거리를 늘리기 위해 배터리셀에 무리한 설정을 해서 화재로 연결됐을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이번 리콜은 배터리관리시스템(BMS)을 업데이트한 뒤 배터리 이상 징후가 발견되면 배터리를 교체해주는 방식이다.

배터리 교체보다 BMS 업데이트를 먼저 진행하는 데서 알 수 있듯, 배터리셀만의 문제가 아닐 수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이번 리콜이 배터리 모듈 단위 교체가 아니라 팩 전체에 대한 교체로 이어질 경우 비용이 급격히 늘어날 가능성도 있다.

코나EV의 배터리팩은 대당 2천만원으로 추산되며, 7만7천대를 모두 교체하면 리콜 비용은 총 1조5천400만원에 달한다.

김준성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코나EV 총판매량 13만4천대 중 0.01% 이하인 12대에서 화재 사고가 발생한 만큼 나머지 99%의 차량 중 일부에 대한 과부하 설정 실험이나 정황 증거만으로는 결론을 내리기 어려운 상황이다"라고 진단했다.

김 연구원은 "내연기관과 달리 초기 성장 국면인 순수전기차(BEV)는 시장 전반적으로 누적된 사례가 제한적"이라며 "해외에서도 BEV 화재 원인이 명확히 나온 사례가 없다"고 덧붙였다.

mrlee@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08시 57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