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M·IB·무역금융이 강한 은행이 디지털영향 덜 받아



(서울=연합인포맥스) 송하린 기자 = 자산관리(WM)·투자금융(IB)·무역금융이 강한 은행이 디지털전환 충격을 덜 받는다며, 은행권은 빅테크 접근이 어려운 시장을 강화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이병윤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15일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금융연구원 세미나에서 '은행은 여전히 특별한가: 디지털금융의 확산과 은행의 대응'을 주제로 발표했다.

그는 "저성장·저금리 지속, 디지털금융 확산, 핀테크·빅테크 은행산업 진출 확대 등으로 기존 은행은 수익감소뿐 아니라 생존도 어려워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빅테크 등과 치열해진 경쟁에서 은행이 안정적으로 성장하려면 빅테크의 접근이 어려운 시장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 선임연구위원은 "전자급융업자의 접근이 어려운 WM, IB, 무역금융 등에서 경쟁력이 높은 은행은 디지털 전환의 충격을 덜 받는다"며 "자문, 상담, 자산관리, 거액거래 등 기존 은행의 경쟁우위 부문에서 경쟁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디지털금융 경쟁력을 확보해야 한다고도 했다.

그는 "디지털 전환에 따라 소매금융시장에서 제조와 판매가 분리되는 경우 유력 판매사와 관계가 돈독한 은행과 비용관리를 통해 소비자 친화적 조건을 제시하는 은행의 시장점유율이 급증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그러면서 "빅테크와 제휴·협력 확대, 인수합병(M&A)을 통한 플랫폼 확보, 부수업무로 다양한 플랫폼 비즈니스 개발해 고객 접점 강화 등이 필요하다"며 "디지털금융 조직 분리와 관련 인력 양성, 오프라인 점포 구조조정을 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그는 "빅테크와의 경쟁·은행 간 경쟁이 심화하면서 점포 방문 없이 모든 소매금융 관련 상품·서비스를 비대면 채널로 이용할 수 있는 은행만 생존할 것"이라며 "미래에는 프라이빗뱅커(PB) 서비스에 근접한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자산관리 서비스의 비대면 24시간 제공이 소매금융 경쟁력의 척도가 될 전망"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빅테크의 접근이 불가한 외국환 서비스, 기업용 거액송금 서비스 등을 비대면으로 제공하는 은행은 차별화에 성공할 수 있다"고 부연했다.

오프라인 점포의 새로운 역할도 강조했다.

이 선임연구위원은 "은행은 오프라인 점포나 고객과의 관계 등을 통해 신용평가 등에 활용될 수 있는 각종 비재무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경쟁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며 "미래 은행 점포는 고객 상담과 민원 해결 창구로 탈바꿈될 전망이기 때문에 교차판매와 평판리스크 관리가 중요해질 것"이라고 평가했다.

자금중개 안정성 확보를 위해서는 "대안신용평가모형 개발, 사업성 평가를 통한 심사능력 개선, 소매금융 위주 점포망을 기업금융 위주로 재편하는 등 관계금융 강화를 위한 점포전략 마련 등이 필요하다"며 "프리워크아웃 활성화를 통해 선제 대출 구조조정도 향후 경기 하강 가능성이 대비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이 선임연구위원은 은행과 빅테크 간 규제에 대해 "동일한 리스크를 유발하는 영업행위는 동일 규제를 적용해야 한다"며 "금융회사와 빅테크 간 비대칭적 데이터 공유 규제 관련 이슈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마이데이터 사업 도입으로 금융회사와 핀테크·빅테크 간 금융거래정보 공유가 확대되고 있다"며 "금융지주그룹 내 관계회사 간 고객정보 공유절차 간소화 이슈를 살펴봐야 한다"고 덧붙였다.

hrsong@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14시 00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