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변명섭 기자 = 카드사들이 최근 경쟁적으로 이용실적을 늘리고 있는 카드론 등 각종 대출에 대한 부실 가능성이 잇따라 제기되고 있다.

16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 상반기 국내 7개 카드사(신한, KB국민, 삼성, 현대, 롯데, 우리, 하나카드)의 신용등급 7등급 이하 및 대출 3건 이상 다중채무자의 자산 비중은 2016년말 60%에서 올해 상반기 68%까지 상승했다.

전체 카드론 이용자 260만3천541명 가운데 146만27명(56.1%)은 3개 이상 기관에서 카드론을 이용한 다중 채무자다.

다중채무자는 2015년 189만5천74명에서 2019년 258만3천188명으로 36.3%가량 늘었고 상반기 추이를 보면 올해 지난해 수준을 훌쩍 뛰어넘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채무자들이 양산된 데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경기침체 영향이 컸다.

경기침체에 따른 저신용층의 카드론 다중채무가 늘어나며 고정이하여신비율 증가세도 뚜렷하다.

한국기업평가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고정 이하 카드 자산에 대한 상각·매각 규모는 전년대비 11% 증가했지만, 고정이하여신비율은 지난해말 1.19%에서 올해 상반기 1.28%로 오히려 늘어났다.

자산 성장이 둔화하고 고정 이하 카드 자산에 대한 매각은 늘었지만 고정이하여신비율이 늘었다는 점은 최종부실 규모가 유의미하게 늘어난 것으로 평가된다.

한국기업평가 하현수 선임연구원은 "저신용자와 다중채무자의 경우 경기 저하에 따른 민감도가 높고 정부의 금융지원 확대에도 이에 대한 추가 대출 가능성이 작아 최종부실 우려가 높다"고 지적했다.

금융위원회 등 금융당국이 코로나19 상황을 반영해 중소기업과 소상공인 대출의 원금 만기 연장과 이자 상환유예 조처를 해 연체율이 일시적으로 낮아졌다는 착시현상에 주의해야 한다는 경고가 나오는 이유다.

금융위원회는 지난달 말로 예정됐던 상환유예조치를 6개월 연장했지만 여신업계에서는 다중채무자에 따른 시장 위험도는 여전하다고 우려를 표하고 있다.

상환 유예 조치 등 영향으로 카드사의 1개월 이상 연체율 추이는 지난 상반기 총채권 기준으로 1.38%로 지난해 말보다 0.05%포인트 하락했다.

여신업계 한 관계자는 "현재 연체율이 하락한 것으로 보이지만 실상은 상환유예로 부실 대출에 대한 연체율이 다 빠져있는 것으로 보면 된다"며 "올해 말까지는 괜찮을 수 있지만, 상환유예가 풀리는 시기에 연체율은 급증할 수 있다"고 전했다.

msbyun@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09시 32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