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송하린 기자 = 국내은행의 올해 상반기 평균 대손비용 증가율이 해외 주요 은행의 절반에 그친다며, 배당금 결정에 대손 비용이 증가할 가능성을 반영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권흥진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25일 '코로나19 전후 국내외 주요 은행의 대손비용 추이와 시사점' 보고서에서 "국내은행은 현실화가 지연되고 있는 잠재 부실이 본격적으로 드러날 가능성에 대비해 충분한 자본 완충력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대손충당금 전입액은 거시전망 등이 악화해 전반적인 대출채권 기대신용손실이 증가하거나, 연체 등으로 중대한 신용위험이 인식되거나, 손상된 대출채권 비중이 상승하는 경우에 증가한다.

해외 주요 은행의 올해 상반기 평균 대손충당금 전입액은 35억5천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27.9% 증가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한 경기침체와 자산 건전성 악화의 영향이다.

반면 KB·신한·하나·우리·NH농협금융지주 등 국내 5대 금융지주와 중소기업은행의 올해 상반기 평균 대손충당금 전입액은 5억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5.7% 증가에 그쳤다. 국내 은행권의 경우 각종 코로나19 정책지원 효과로 자산 건전성이 표면적으로 악화하지 않아 올해 상반기 대손 비용 증가분은 상당 부분 악화한 거시전망에 기인하기 때문이다.





권 연구위원은 "해외 주요국 대비 양호한 거시환경, 장기적인 저금리 추세, 코로나19 관련 지원 등으로 인해 연체 등 손상이 지연되고 있는 잠재 부실은 경기침체 지속으로 노동시장 여건이 악화하고 코로나19 관련 조치가 종료되면서 점차 현실화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분석대상에 포함된 6개 국내은행의 올해 상반기 중 위험가중자산 증가율은 평균 4.2%로 해외 은행 증가율 3.3%에 비해 비교적 높은 편이어서 리스크 익스포져가 비교적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며 "잠재 주실 리스크가 누증되고 있음을 시사한다"고 지적했다.

권 연구위원은 "국내은행은 잠재 부실 현실화 때 큰 타격이 예상되는 여신 군을 식별해 취약한 여신 군은 프리워크아웃 등 대응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며 "비용 절감 등을 통해 적절한 수익성을 확보하고, 코로나19 이후 중장기적인 대손 비용 증가 가능성을 배당금 결정에 반영해 충분한 자본 완충력을 확보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hrsong@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12시 00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