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송하린 기자 = 내년 이후 매출·영업이익 감소가 재무제표에 반영되면서 대규모 등급 하향조정이 일어날 위험에 대비하라는 의견이 나왔다.

임형준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25일 '코로나바이러스 시대 수익률추구 확대가 금융시스템 리스크에 미칠 영향' 보고서에서 "미래 등급하락을 예견하는 부정적 등급 전망은 한국신용평가가 작년 말 24건에서 올해 상반기 말 36건, 한국기업평가와 나이스신용평가가 27건에서 각각 47건과 52건으로 늘어난 상황"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임 선임연구위원은 "올해 정기평가는 공교롭게도 코로나19 확산 직후에 이루어진 데다 파급효과가 재무제표에 반영되지 않아 신용등급이 안정화를 보였다"며 "신용등급 안정세와 초저금리 기조 속에서 크레딧 수익률 추구와 위험투자가 확대됐다"고 지적했다.

그는 "장기적 기업 실적 부진과 신용등급 하락으로 크레딧시장이 경색되면 그 위기는 장기회사채 시장보다 CP와 전단채 시장에서 시작될 가능성이 높다"며 "전반적으로 크레딧가격 상승, 발행량 증가 등 시장지표가 호황을 시사하지만, 회사채 발행시장에서 수요예측 미달 기업이 늘고 수요예측 미달 등을 우려한 기업들의 만기 1년 이상 장기 CP 발행이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고 우려했다.

아울러 "공모 일반회사채 수익률이 역사상 저점까지 하락한 상황에서 상호금융, 공제회 등 기관투자자들이 수익률 제고를 위해 사모 옵션부사채 투자를 확대할 가능성이 높다"며 "신주인수권부사채(BW), 전환사채(CB), 교환사채(EB) 등 주식옵션부사채 시장은 주된 발행기업이 공모사채시장 접근이 용이하지 않은 코스닥 상장기업이라 크레딧시장 경색에 상대적으로 더 취약한 편"이라고 설명했다.

임 선임연구위원은 "이 시기에 금융당국은 금융시장 내 과열이 발생하거나 시장리스크가 누적되지 않도록 금융시장을 관리·감독할 필요가 있다"며 "일시적 충격이 오더라도 금융당국과 신평사들은 부실 위험이 높은 기업의 등급을 적절히 하향조정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크레딧시장 경색의 단초가 될 수 있는 CP·전단채 시장과 주식옵션부사채시장 모니터링을 강화해야 한다"며 "크레딧시장 과열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회사채발행 증가율이나 회사채 신용스프레드 등 소수 거시금융지표보다는 금융기관 수익률 추구를 파악할 수 있는 다양한 지표를 종합적으로 검토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hrsong@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12시 00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