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이재헌 기자 = 실물경제와 주가지수의 디커플링(탈동조화) 현상이 나타나면서 자원배분이 왜곡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왔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재확산하면 금융시장 위험으로 번질 수 있어 선제 점검이 필요하다는 제언이다.

27일 연합인포맥스의 주가지수 일별 추이(화면번호 3221)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국내 코스피지수는 1년 전보다 5.9% 높다. 코로나19 확산 이후에 30% 정도 올랐다. 현재도 코스피 지수는 2,300대 중반을 오르내리고 있다.

코스닥지수는 1년 새 26.6%가 상승했다. 올해 3월 이후에는 49%가 올랐다. 국내 경제성장률과 민간소비가 하락 추세지만, 주식시장은 자금 유입세가 꾸준하다.





국회예산정책처는 이런 현상의 이유로 시중유동성 증가, 개인투자 자금 유입 확대, 미래가치 반영 등을 꼽았다.

다만, 실물경제와 주식시장의 디커플링이 지속하면 자산가격에 버블(거품)이 생길 수 있다고 진단했다. 실물경제 부양을 위해 공급된 유동성이 금융 부문에만 집중됐다는 뜻이다.

박승호 예산정책처 경제분석관은 "올해 중소제조업 자금사정지수는 1분기 69.9, 2분기 61.7로 전년동기대비 각각 8.4%, 16.8% 하락했는데, 부동자금과 주식시장 예탁금은 증가세"라며 "실물부문에 대한 자원배분을 왜곡할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거품이 낀 자산가격은 코로나19 재확산 등의 이벤트가 발생하면 금융시장의 불안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박 분석관은 부연했다. 국제통화기금(IMF)이 투자자들의 위험 선호가 약화하면 경제회복에 위험요인이 된다고 한 점도 소개했다.

박 분석관은 "주식시장의 신용잔고가 큰 폭으로 증가하는 상황 등을 고려해 개인투자자의 투자자금과 관련된 신용리스크, 급격한 자금 유·출입 위험 등을 점검할 필요가 있다"며 "시중유동성이 우량한 상장기업과 금융시장에만 집중되지 않고 코로나19 영향을 크게 받는 실물 부문에 원활히 전달되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jhlee2@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11시 37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