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최진우 노현우 기자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 과정에서 국채발행이 급증하자 미국 등 국채발행 시장 개선을 주장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확대 재정정책 여파에 시장 몸집은 급격히 커졌는데, 이를 소화할 제도는 예전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는 문제의식에서다. 앞서 수요 역량 강화방안을 발표한 기획재정부의 선제 대응도 재조명받고 있다.

13일 채권시장에 따르면 이코노미스트지는 지난 4일 '곤경에 처한 채권(The bond that bind)' 제목의 기사에서 미 국채 수요가 증가했지만, 국채 트레이더들이 이를 공급받을 수 있는 파이프는 오히려 축소됐다고 지적했다.

JP모건과 골드만삭스 등 대형 금융기관이 국채전문딜러(PD) 업무를 수행하고 있지만, 이들의 시장 조성 능력은 금융위기 이후 강화된 금융규제에 제약을 받고 있다고 이코노미스트지는 진단했다.

국채 발행 급증에도 발행 시장의 역량은 축소된 셈이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도 국채 발행시장에 대해 우려의 시각을 드러냈다.

연준은 금융안정보고서에서 코로나 확산 당시 시장 상황을 분석하며 일부 딜러들은 시장 중개 역량(intermediation capacity) 한계에 봉착했고, 점차 매도 물량을 흡수하지 않으려 했다고 지적했다.

동시에 국채를 담보로 레포 조달하려는 투자자가 급증하면서 딜러들의 대차대조표에 압력이 커졌고, 이들의 금융 조달 비용은 더욱 치솟았다고 회고했다.

이에 따라 최근 콘퍼런스에서 이례적 시기에 국채 발행 물량 흡수를 위한 딜러들의 역량 강화 논의가 이뤄졌고,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도 국채시장의 접근 확대를 촉진할 수 있는 국채시장 규제 변경을 제시했다고 연준은 설명했다.

국채발행 시장에서 수요 기반을 강화하려는 노력은 국내에서도 이어지고 있다.

기획재정부는 지난달 20일 국고채 2년물 신규 발행과 개인 투자용 국채 신설, 국고채 전문 딜러 평가 시 인수 실적에 점수를 더 챙겨주는 방식의 개편을 담은 수요 대책을 발표했다.

내년에도 대규모 국채 발행이 예고된 가운데 선제적으로 발행시장의 역량 강화에 나선 것이다.

금융시장의 한 관계자는 "정부가 문제를 파악해서 선제 대응에 나선 것은 높이 평가할만하다"며 "유례없는 국채 물량에 시장 여건 조성 등 당국의 역할이 어느 때보다 중요해졌다"고 말했다.

다만 정부의 정책 노력에도 채권시장은 경계의 끈을 놓지 않는 모양새다.

한 PD사 관계자는 "정부가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지만, 우리나라도 레포와 ELS 규제 영향에 기관들의 매수 여력이 계속 줄어드는 상황이다"며 "내년 한은의 대응까지 소극적이라면 전혀 녹록한 상황이 아니다"고 설명했다.

다른 PD사 관계자는 "올해 늘어난 물량을 소화하느라 국내 기관의 북 한도가 거의 찼을 텐데, 내년은 어떻게 될지 막막하다"고 말했다.

jwchoi@yna.co.kr

hwroh@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2시간 더 빠른 12시 55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