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연합인포맥스) 이효지 기자 =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50bp 인하한 지난해 서울보다 경기도의 다주택자가 더 많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통계청의 '2019년 주택소유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에 거주하는 주택소유자(248만3천명)는 전년 동기보다 1.0%(2만4천명) 증가했다.

경기도의 경우 집을 가진 시민(345만4천명) 증가폭은 서울보다 큰 4.4%(14만6천명)이었다.

경기도와 서울은 집을 소유한 거주자가 가장 많은 시도다.

다주택자도 사정은 비슷하다.

주택을 2건 이상 보유한 다주택자는 서울에 39만여명으로 1년 전보다 1.1% 늘어난 데 반해 경기도 다주택자는 54만여명으로 전년 대비 7.0% 증가했다.

지난해 하반기 한은이 기준금리를 25bp씩 두 차례 인하한 데 따른 유동성이 부동산 시장으로 유입된 영향으로 보인다.





실제로 작년 상반기까지 잠잠하던 주택시장은 하반기 들어 금리 인하와 동시에 분양가 규제를 피하고자 후분양을 추진하는 재건축 단지가 나오면서 서울 강남 재건축 단지를 중심으로 과열되기 시작했다.

정부가 민간택지 분양가 상한제 카드를 꺼냈지만 풍선효과로 수도권 집값이 덩달아 오르는 결과를 낳았다.

낮아진 금리가 밀어 올린 집값은 30대의 내 집 마련을 더욱 어렵게 만들기도 했다.

지난해 전국 주택소유자 1천433만명 중 30대는 174만명으로 1년 전보다 3.3%(6만명) 감소했다.

이들이 보유한 주택도 가격대가 높아져 3억원 이하 주택은 감소했지만 3억원 초과 주택 수가 많아졌다.





현재 기준금리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 등으로 작년 말과 비교해 75bp 더 낮아진 상태라 이러한 유동성 발 집값 강세가 올해 더 심해질 수 있다.

금리 인하에 더해 정부는 추가경정예산(추경)을 네 번 편성했으며, 민생금융 안정 패키지 프로그램도 가동했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지난 9일 '통화 공급 증가의 파급 효과와 코로나19 경제 위기' 보고서에서 통화량이 증가할 때 공급이 가격에 비탄력적으로 반응할 수밖에 없는 부문이라면 가격만 빠르게 상승할 수 있다며 주택시장에서 통화 공급 증가의 영향이 단기적인 가격 상승으로 나타날 수 있다고 분석했다.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은 지난달 국토부 국정감사에서 과잉 유동성 문제를 심각하게 보고 있으며 "상황을 봐서 금리를 단계적으로 인상하는 조치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hjlee2@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08시 15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