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노현우 기자 =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26일 기준금리를 동결한 배경으로는 금융불균형 위험이 꼽힌다.

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재확산하고 있지만, 주택시장 불안 등 금융불균형 위험이 상존하는 점을 고려해 현재 정책을 유지하면서 추이를 지켜보겠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금통위는 이날 정례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0.50%로 동결했다. 지난 3월 임시 금통위에서 50bp 인하하고, 5월 추가로 25bp 내린 후 네 차례 연속 동결이 이어졌다.



◇ 가파르게 늘어나는 가계대출, 추가 인하 제약

가파른 가계부채 증가세는 한은의 추가 금리 인하를 제약한 요인이다.

한국은행이 지난 24일 공개한 '2020년 3분기중 가계신용(잠정)'에 따르면 3분기 말 현재 가계신용 잔액은 1천682조1천억 원으로 통계 작성을 시작한 2002년 4분기 이래 가장 많았다.

3분기 가계신용은 2분기 말(1천637조3천억 원)보다 44조9천억 원(2.7%) 늘었다. 이 증가 폭은 2016년 4분기 46조1천억 원에 이어 역대 두 번째 기록이다.

주택시장 분위기도 심상찮다. 최근 전셋값 상승에 일부 지역의 아파트 매매 가격도 다시 오르는 모양새다.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11월 셋째 주(16일 기준) 전국의 주간 아파트값은 0.25% 상승해 지난주(0.21%)보다 오름폭이 커졌다.

한국은행이 실시한 소비자동향 조사에서도 향후 집값이 오를 것이란 답변이 크게 늘었다. 주택가격 전망지수는 130으로 2013년 1월 집계가 시작된 이래 가장 높았다. 10월(122)과 비교해, 한 달 새 8포인트(p)나 뛰었다.

금통위는 이미 기준금리를 대폭 낮춘 상황에서 금융 불균형 우려가 지속하자, 완화정책의 속도를 더 높이기보다는 그간 정책 효과를 지켜보자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연방준비제도(Fed·연준) 등 주요국 중앙은행이 추가 행동에 나서지 않은 점도 한은이 추가 완화에 서두르지 않은 배경이다.



◇ 코로나 재확산에 경기 먹구름…완화기조 유지는 불가피

금융 불균형 위험 확대에도 한은이 사상 최저 기준금리인 현재의 완화 기조를 이어가기로 한 것은 경기 불확실성이 여전하기 때문이다.

최근 지표인 지난 9월 산업활동동향에서 광공업생산지수는 전월보다 5.4%나 증가했다. 시장 예상인 2.79% 증가를 크게 웃도는 수준이지만, 최근 글로벌 코로나 확산세를 고려하면 불확실성은 여전하다.

실물경제가 완전히 회복되지 않은 상황에서 코로나19 확산세가 가팔라지자, 완화 기조 유지는 불가피하다는 판단을 한 것으로 풀이된다.

물가도 낮은 수준을 이어가 완화 기조 유지의 필요성을 더했다. 10월 소비자물가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0.1% 상승하는 데 그쳤다. 올해 9월(1.0%) 6개월 만에 1.0%대로 올라섰지만, 다시 0%대로 내려온 것이다.

계절적 요인이나 일시적 외부충격에 따른 변동성을 제외한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지수(근원물가)도 0.1% 상승에 그쳤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 근원물가 지표인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지수는 0.3% 하락했다.

hwroh@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09시 37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