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이민재 기자 = 국제금융센터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 과정에서 발생한 초과 유동성의 자산시장 집중과 이에 따른 변동성 확대 위험을 경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김윤경 국제금융센터 자본시장부장은 26일 온라인으로 개최된 동향설명회에서 "코로나19로 글로벌 유동성이 많이 급증했다"며 "지난 2008년 세계금융위기와 비교하면 본원통화는 3조2천억 달러, 광의통화(M2)는 4조4천억 달러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짧은 기간 집중적으로 지원된 유동성은 실물경제보다 자산시장에 더 유입된 것으로 파악된다"며 "자산시장 인플레 효과는 빠르게 나타났지만 실물경제 인플레는 둔화했다"고 진단했다.

유동성 증가가 실물부문의 인플레이션 상승으로 연결되지 않는 현상은 경제구조 변화와 저축 과잉, 규제 강화 등에 기인한다고 해석했다.

그러면서 향후 코로나19로 확대된 유동성이 단기적으로는 세계금융위기 이후처럼 서치 포 일드(수익찾기)라는 이름으로 신흥국 자산으로 유입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 코로나19로 인해 발생한 초과 유동성 역시 상당 부분 자산시장으로 유입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4분기부터 올 2분기까지 M2가 2조9천억 달러(19%) 증가하는 사이 미 주가는 S&P500 기준 저점 대비 59% 상승했다.

김 부장은 조 바이든 후보의 미 대선 당선 이후 달러 약세에 따른 신흥국 자금 이동과 대규모 재정지출 등으로 간헐적인 스태그플레이션이 발생할 가능성을 제기했다.

부동산 버블 축적 등에 의해 경제 불균형이 초래될 위험이 있다고도 내다봤다.

김용준 시장모니터링본부장은 "통화완화 정책 기조가 유지되면서 유동성이 위험자산으로 흘러가고 자산시장 버블을 야기할 수 있어 유의 깊게 지켜봐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는 "위기가 계속 반복되고 글로벌 경기 회복세가 미진해 시장 정책 의존성이 심화하면서도 정책의 지속 가능성에 대한 의구심도 나타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경제가 자체적인 힘으로 회복하기보다는 정책 대응에 의존하기 때문에 시장과 경제가 민감하게 반응하고 부작용도 나타날 수 있는 점에 유념해야 한다"며 "높은 실업률이나 기업 부채 등 치유되지 않은 상처가 남는다면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mjlee@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16시 57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