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전소영 기자 = 한국은행은 가계저축률 고착화가 소비 부진 장기화로 연결돼 내수 부양 정책 효과를 줄일 수 있다고 진단했다.

수출과 투자는 경기 변동성이 큰 만큼 수출과 투자 의존도가 상대적으로 높아지면서 경기 변동성을 확대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고 평가했다.

한국은행 조사국 이용대 과장과 이채현 조사역은 29일 조사통계월보 '코로나19 위기에 따른 가계저축률 상승 고착화(Level-up) 가능성' 자료에서 "불확실성이 높아 투자가 어려운 상황이라면 저축률 상승이 소비위축을 통해 경기 부진을 심화시킬 우려가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저축률 상승은 일반적으로 기업의 투자 재원을 늘리고 이로 인한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는 긍정적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소비 부진으로 올해 가계 저축률이 상승했다. 보고서는 코로나19 위기 과정에서 비자발적 소비 제약 영향에 올해 가계저축률이 1999년 이후 처음으로 10% 내 내외까지 높아질 것으로 추정했다.

향후 감염병 확산이 진정되면 그동안 억눌렸던 소비가 되살아나면서 가계저축률 상승이 어느 정도 되돌려질 것으로 예상했다.

보고서는 경기 부진이 장기화할 경우 미래 예상 소득 감소, 신용제약 증대 등으로 가계의 저축성향이 높아지는 행태 변화가 나타나고 소득 불평등도 심화하면서 가계저축률이 고착화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고용과 소득 부진이 장기화하고 정부로부터의 소득 지원도 줄어든다면 가계가 예상하는 미래소득이 감소하면서 예비적 저축이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정부 지원이 크게 확대됐던 올해 2분기 중 가계소득은 이전소득이 전년 대비 80.8% 늘어난 영향에 4.8% 증가했지만, 근로소득, 사업소득만 놓고 보면 전년 대비 5.1%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 부진이 장기화하면 경제 전반의 신용위험이 커지면서 금융기관에서 대출받기가 어려워진다. 가계는 부채를 줄이고 미래에 소비할 수 있는 재원을 마련하기 위해 현재의 소비를 줄이고 저축을 늘릴 가능성이 있다.

금융위기 이후 미국 가계는 자산 가격 하락에 대응해 자발적으로 부채를 줄였다. 금융기관도 대출 심사 기준을 강화하였고, 가계저축률 상승으로 연결됐다.

올해 2~3분기 중 소비성향이 높은 저소득층의 근로소득이 많이 감소하는 등 위기 장기화에 따른 소득 불평등 심화도 저축성향에 영향을 미칠 요인으로 지목됐다.

보고서는 위기가 장기화로 저소득층의 소득이 더 큰 폭으로 감소할 경우, 저축성향이 높은 고소득층의 소득이 전체 가계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확대되면서 전체 가계 저축성향이 상승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보고서는 "가계저축률 상승이 고착화한 상황에서 소비 부진이 장기화하면 수출과 투자에 대한 경제 의존도가 높아질 수 있다"며 "가계 지원이 소비보다는 저축으로 이어지는 경향이 높아져 내수 부양 정책의 효과가 약화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보다 긴 시계에서는 저축이 투자를 위한 자금 수요를 상회하는 가운데 수요도 줄어들면서 저성장, 저물가, 저금리 현상이 뉴노멀이 될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syjeon@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12시 00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