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한종화 기자 = 올해 들어 저금리 기조가 심화하면서 신규 대출 가운데 변동금리 대출의 비중이 급증했다.

변동금리 대출은 금리 상승시 이자 부담을 키우기 때문에 향후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시 가계에 충격을 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다만 다른 한편으로는 변동금리 대출 증가분의 대부분이 상대적으로 만기가 짧은 신용대출이나 전세 대출 등이라서 문제를 지나치게 부풀릴 필요는 없다는 지적도 나온다.

1일 한국은행 금융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신규취급액 기준 가계대출은 올해 1월만 해도 고정금리와 변동금리의 비중이 50.2%와 49.8%로 거의 동률을 나타냈다가 2월부터 변동금리 대출의 비중이 급등했다.

올해 내내 이런 추세가 이어져 지난 10월에는 변동금리 대출 비중이 68.5%, 고정금리 대출 비중이 31.5%를 나타냈다.





변동금리 대출이 증가하자 금융시장에서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금리 하락기에는 변동금리가 유리해 보이지만 금리가 상승할 경우 대출자의 이자가 증가해 가계의 상환 부담이 커지기 때문이다.

전일 김현미 국토부장관도 국회 질의 답변 과정에서 변동금리 대출인 신용대출 규제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김 장관은 "급격한 신용부채 증가로 가계부채 비율이 높다"며 "금리 인상이 조금만 이뤄져도 상당한 위기가 될 수 있는 정도로 부채가 늘고 있어 정부로서는 하지 않을 수 없는 대책"이라고 말했다.

금융시장의 한 관계자는 "기준금리 대비 채권금리가 높아 대출자들이 기준금리에 연동되는 성격이 강한 변동금리 대출을 집중적으로 선택하는 것"이라며 "나중에 금리 정상화시 큰 문제로 되돌아올 수 있다"고 설명했다.

반면 일각에서는 최근 증가한 대출의 유형을 살펴보면 지나치게 우려할 필요는 없다는 지적도 나온다.

변동금리 대출이 장기 주택담보대출보다는 상대적으로 만기가 짧은 전세대출이나 신용대출에서 늘어났을 것이라는 분석 때문이다.

실제로 한은에 따르면 지난 9월과 10월 은행의 주택담보대출 증가분 13조5천억 원 가운데 전세대출은 6조5천억 원으로 절반가량을 차지한다. 전세대출은 주택담보는 아니지만 통계상 주담대 증가분에 포함된다.

신용대출을 포함하는 기타대출은 같은 기간 6조8천억원 증가했다.

이병건 DB금융투자 연구원은 "상당히 많은 대출이 전세자금 대출인데 전세 대출은 만기가 2년으로 고정과 변동 금리 여부를 따질 이유가 없다"며 "중도금 대출도 의미가 없는 것은 마찬가지"라고 설명했다.

고제헌 주택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정부 신용대출 규제 입장은 우리나라 부채가 당장 위험한 상황이기 때문이라기 보다는 가계가 신용대출을 늘려 큰 자산(부동산)을 사는데 활용하는 것이 경제에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으로 생각된다"고 설명했다.

고 연구위원은 "다만 신용대출은 전부 변동금리에 노출된 대출이라서 금리가 올랐을 때 파급효과도 크고, 가계 충격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고 덧붙였다.

jhhan@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2시간 더 빠른 10시 23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