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송하린 기자 = 2021년 국내은행은 분활상환 대출 비중을 높여 리스크 관리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제언이 나왔다.

서병호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3일 '2021년 은행산업 전망과 경영과제' 보고서에서 "올해는 신용리스크와 규제리스크가 부각될 전망"이라며 "신용리스크 관리를 위해서는 중장기적으로 대출자산 중 원리금 분할상환 대출 비중을 높여야 한다"고 말했다.

서 선임연구위원은 "여신심사 가이드라인 등에 따라 분할상환 비중이 높아지는 추세이지만, 잔액 기준 주택담보대출의 40%가량은 아직 만기 일시 상환 방식"이라며 "차주의 대출 불감증과 과대 부채의 원인이 되고 만기가 도래할 때마다 차환리스크를 유발한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규제리스크 관리는 레그테크 도입을 통한 시스템적 접근도 중요하지만, 옵티머스와 라임 등의 사례를 고려할 때 판매상품에 대한 사전 심의기능 강화가 시급해 보인다"고 부연했다.

초저금리 시대 새로운 수수료 수익원으로 '고객 맞춤형 서비스'를 육성해야 한다는 조언도 나왔다. 인구 고령화와 함께 고객에게 가장 필요한 서비스로 국민의 재정적 노후관리를 위한 '유언대용신탁'을 꼽기도 했다.

그는 "통상 비이자이익을 늘리기 위해 펀드나 방카슈랑스 판매에 집중했지만, 비예금상품 판매규제 강화와 소비자보호법 도입으로 판매 관련 비용이 증가했다"며 "마이데이터 사업자 등장에 따라 맞춤형 금융서비스 수요가 늘어나는 상황에서 정형화된 상품을 대중에게 판매하는 모델에는 한계가 있다"고 얘기했다.

디지털 채널 경쟁에서 패배하면 금융상품 단순 제조자로 전락할 수 있다며, 관련 경쟁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서 선임연구위원은 "전문업체의 도움을 거쳐 빅테크 앱 수준의 편리함을 갖추는 것, 앱 내 개방성을 높여 다른 은행과 자은행 상품을 경쟁시키는 것, 방문판매 인력과 연계해 PB와 기업금융 서비스를 앱으로 제공하는 것 등이 좋은 방법"이라고 제시했다.

나아가 "마이데이터 산업에 진출해 맞불을 놓으면서 관련 상품을 출시하는 것도 훌륭한 대응 전략"이라고 덧붙였다.

hrsong@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12시 00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