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한종화 기자 = 올해 국고채 2년의 발행이 시작되면서 단기물 비중 증가에 대한 다양한 평가가 나오고 있다.

단기 국채 조달은 장기 조달보다 금리가 낮은 이점이 있어 정부가 이를 활용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는 한편, 빚을 빨리 갚아야 한다는 점에서 조달의 안정성이 떨어지는 단점도 지적됐다.

11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정부는 올해 국고채 2년물을 신규 발행하면서 2~3년물의 단기 비중을 30±5%로 정했다.

전체 발행한도 176조4천억 원에 이 비중을 적용하면 단기물 발행 규모는 44조1천억~61조7천400억 원이다.

2년물이 없던 작년 국고 3년물 발행 규모가 35조830억 원으로 전체 발행규모 174조5천억 원의 20%를 차지했던 점을 고려하면 단기물 발행의 비중과 규모가 모두 크게 증가했다.

채권시장에서는 단기물 발행 증가로 정부가 저금리의 이점을 추구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증권사의 한 채권 딜러는 "국고 10년물 금리가 1.7%를 상회하는데 장기물로 조달하면 재정적자가 심해진다"며 "기준금리가 0.5%인 상황에서 3년 이하에서 발행을 많이 하면 낮은 조달금리를 누릴 수 있다"고 설명했다.

지난 8일 기준 국고 3년물 금리는 0.978%로, 1.729%인 10년 금리 대비 75.1bp 낮다.

미국의 사례를 보면 실제로 올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하는 과정에서 만기가 1년 미만인 단기국채(T-bill)의 발행이 크게 증가했다.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미국 재무부는 작년 T-bill을 2조7천억 달러 순발행했고, 만기가 더 긴 중장기 국채(T-Note, T-Bond)는 그보다 적은 1조4천억 달러 순발행했다.

권도현 국금센터 부전문위원은 "T-bill 발행 급증은 코로나19로 예상치 못한 재정 소요가 급증했고, 리세션 국면에서 머니마켓펀드(MMF)의 T-bill 수요도 증가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연합인포맥스 국가별 정부채 금리(화면번호 6543)에 따르면 지난 8일 미국 재무부의 T-bill 6개월물 금리는 0.08%에 불과하다.

다만 단기채권 비중의 증가가 무조건 좋은 것만은 아니다.

정부가 장기 사업에 들어가는 자금을 단기로 조달했다면 사업이 끝나기도 전에 조달금의 만기가 돌아오는 불일치의 문제가 발생한다. 장기로 조달하는 경우에는 금리를 고정시켜 둘 수 있지만 만기가 금방 돌아오는 경우 새로 조달할 때 금리가 높아질 위험도 있다.

국금센터에 따르면 미 재무부도 올해 T-bill을 5천억 달러가량 순회수하고, 2년 이상의 중장기 국채를 2조8천억 달러 순공급할 것으로 예상된다.

권 부전문위원은 "T-bill은 위기 상황에서 조달한 것으로, 시장이 정상화됐을 때 비중을 줄였다가 향후 미래에 다시 늘릴 수 있는 여력을 확보하려 할 수 있다"며 "또 길게 봤을 때 금리 수준이 전체적으로 낮아졌기 때문에 장기 저금리로 조달 비용을 고정시켜 놓는 것이 유리한 측면도 있다"고 설명했다.

우리나라 국고채에 대해서 기재부는 올해 발행 비중을 이미 제시했고, 국고채 발행도 이제 막 시작했기 때문에 아직은 지켜봐야 한다는 입장이다.

기재부의 한 관계자는 "시장에서는 고민이 많겠지만 이미 2년짜리 신설과 함께 연물별 목표 비중을 제시했다"며 "발행은 올해 계획 그대로 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jhhan@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2시간 더 빠른 08시 50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