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 최근 국회의원 A씨의 의원실이 금융권 공공기관의 임원 현황을 조사해 업계 전반의 빈축을 사고 있다. 초선인 A씨는 금융 전반을 잘 아는 전문가다.

의원실에서는 금융당국이 관할하며 공공기관은 아니지만 사실상 공기업으로 분류되는 대부분 기관을 포함했다. 자료 요구과정의 배경 설명은 없었다. 조사에 응한 대부분 기관이 울분을 토했다. 생략된 설명에서 향후 일을 내다볼 수 있어서다.

한 금융 공기업 관계자는 "금융을 누구보다 잘 아는 의원실에서, 국정감사와 같은 시즌이 아닌데도 임원 현황을 내놓으라 했다고 한다"면서 "조만간 비어있는 임원 자리에 비서관, 보좌관, 기타 등등의 외부 출신 전문가를 영입하라는 이야기가 나올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른바 '낙하산'으로 분류되는 외부 출신에 모두 부정적인 건 아니다. 금융당국, 국회 등을 카운터파트로 하는 업무가 잦은 금융공기업에 적합한 경험과 연륜을 갖춘 임원이 자리하는 경우도 있다. 다만 안타깝게도 그런 사례는 손에 꼽힐 정도다.

다른 금융 공기업 관계자는 "국회의원이 직접 자리를 차지해야 정피아냐, 의원실 추천을 거친 모든 인사가 정피아"라면서 "IT, 디지털 등 특별한 전문성이 필요한 자리까지 욕심을 낼 때 보면 정치권의 제 식구 챙기기가 도를 넘었다는 생각이 든다"고 꼬집었다.

정피아 논란이 비단 오늘만의 문제는 아니다. 정권 후반기에 접어들면 예나 지금이나 정피아는 쏟아졌다. 하지만 금융권이 유독 씁쓸해하는 것은 '정치 금융'으로 이야기되는 요즘 상황과 맞물려서다.

최근 여당은 이익공유제의 대표업종으로 금융을 지목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가장 큰 이익을 봤다는 논리에서다. 강제는 아니라지만, 때론 권유가 강제보다 무섭다.

대출만기 연장과 이자 상환 유예, 착한 임대료, 그리고 K 뉴딜까지 금융은 당연시하게 정부 정책의 동반자로 여겨졌다. 그런 동반자에게 이제는 수익과 일자리까지 내놓으라고 한다.

한 금융권 CEO는 "제조업과 비교해 대접을 받지 못했던 금융의 위상이 예전보다 올라간 것은 맞지만 '쉽게 번다'는 인식이 금융선진국으로 가는 길을 막고 있다"며 "금융산업에 대한 인식은 동반자가 아닌 다루기 쉬운 보조자다. 내리꽂는 정피아도, 최근의 정치금융 논란도 그 방증"이라고 꼬집었다. (정책금융부 정지서 기자)

jsjeong@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10시 19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