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송하린 기자 = 국제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가 부동산가격 급등이 경제 불확실성을 키워 은행에도 부담을 줄 수 있다고 했다. 또 국내 은행산업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회복되는 시기는 2022년으로 전망했다.

김대현 S&P 글로벌신용평가 아태지역 금융기관 신용평가 이사는 27일 나이스신용평가와 S&P 글로벌신용평가가 '2021년 신용위험 전망'을 주제로 진행한 공동 세미나에서 "코로나19 확산 이후 총 87개국 은행산업 국가리스크 평가(BICRA) 중 약 절반이 부정적으로 조정됐다"며 "한국은 BICRA 추이가 안정적이고 국내은행 중에서 등급 조정된 경우는 없다"고 설명했다.

김 이사는 "거시적으로 한국은 코로나19를 잘 관리하고 있고 경제회복력도 다른 국가 대비 우수하며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정책도 코로나19 리스크를 완화하는 요인"이라며 "국내은행은 자산건전성, 자본여력이 준수하고 외화자금조달과 유동성도 큰 문제 없다"고 분석했다.





다만 부동산가격 급등 등은 BICRA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경고했다.

김 이사는 "경제 성장력보다 빠른 신용팽창 속도, 수도권을 중심으로 한 부동산 가격의 빠른 상승은 한국 경제 불균형을 확대해 S&P가 평가하는 한국 은행산업의 국가리스크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며 "코로나19 불확실성으로 경제회복이 지연되면 한국 은행산업에 부담이 가중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 "한국의 높은 가계부채도 잠재적인 신용리스크"라며 "경제리스크가 높은 동남아시아에 진출을 확대하고 있고 핀테크가 발전하고 있는 점은 한국의 은행에 기회이자 위협요인"이라고 덧붙였다.

국내은행이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돌아가는 시기는 2022년으로 예측했다.

김 이사는 "은행들이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돌아가기까지는 시간이 오래 걸리고 불확실성이 높으며 지역별 격차도 뚜렷할 것"이라며 "코로나19가 상대적으로 잘 통제된 한국, 중국, 싱가포르, 홍콩 은행들이 먼저 회복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미국과 주요 유럽국가는 2023년, 인도를 비롯한 일부 국가는 2023년 이후에나 회복될 것으로 본다"고 바라봤다.





hrsong@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14시 30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