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계 GDP, 상반기 말 팬데믹 전 회귀…국내 3.3% 성장



(서울=연합인포맥스) 윤시윤 기자 = 자본시장연구원은 공매도 금지 해제에 따른 시장 영향이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했다.

자본연은 28일 "2021년 자본시장 전망과 주요 이슈"를 주제로 온라인 세미나를 개최하고 이같은 견해를 제시했다.

올해 자본시장에 대해서 개인 투자자의 영향력이 지속된 가운데 기업실적이 업종별로 차별화되고, 국채 발행 증가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주요국 경제성장률 반등과 함께 우리나라의 올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3.3%를 나타낼 것으로 예상했다.



◇공매도 금지 국가, 금지기간 수익률 큰 차이 없어

남길남 자본연 자본시장실장은 "공매도 금지 해제에 따른 시장충격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으나 해외 유사 사례에서 시장 충격은 제한적이었다"고 분석했다.

남 실장은 공매도를 금지했던 스페인, 이탈리아, 프랑스, 벨기에, 오스트리아 등의 공매도 금지기간 수익률을 비교했다.

이 국가들의 공매도 금지 기간 수익률은 21.3%로 해제 직후 1일 마이너스(-) 1.9%, 해제 직후 5일 0.6%로 하락한 바 있다.

공매도 허용 국가인 미국, 영국, 독일, 일본의 경우 지난해 3월 18일부터 5월 18일까지 수익률은 23.4%였고 다음날인 5월 19일 수익률 0%, 5일 후 수익률 1.9%를 나타내 공매도 금지국가의 수익률과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료:자본시장연구원]



다만 남 실장은 "다만 시장안정을 위해 거래소를 전면 폐쇄했던 필리핀거래소의 경우 재개장일 주가가 13.3% 폭락했던 사례 등을 고려하면 전면 금지 후 해제에 따른 충격 가능성이 존재한다"며 "보다 정교한 시장안정화 프로세스가 필요하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동학개미운동' 지속…저변동성 대형주로 이동

자본연은 올해 자본시장에 대해 저금리에 따른 위험자산 선호 현상이 이어져 국내 투자자의 주식 투자 수요가 지속할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높은 개인 투자자의 영향력 아래에서 핀테크 기반 온라인 증권사의 본격적인 진출로 '한국판 로빈후드 현상'과 시장 구조 변화에 대비할 필요성도 강조했다.

남 실장은 "개인투자자 거래대금 비중이 80%에 가까울 정도로 증가하면서 2003년 수준으로 복귀했다"며 "개인투자자 증가세는 젊은 세대 중심의 신규 투자자 유입과 개인투자자의 투자여력이 지속되면서 올해도 이어질 전망"이라고 말했다.

다만 개인의 투자 행태는 지난해 주가 급락 종목을 매입하는 극단적 추세 역추종 패턴에서 저변동성 대형주 쪽으로 이동할 것으로 봤다.

남 실장은 기업 실적에 대해 "올해 기업의 수익성은 평균적으로 개선될 전망이나 업종별로 차별화가 심화될 것"이라며 "상장기업의 2021년 매출은 전년 대비 8.8%, 영업이익률은 2.1%P 증가할 것으로 전망한다"고 말했다.







자료:2020년 대비 2021년 기업 실적 전망 *자료:자본시장연구원]



채권시장에선 올해도 공공부문 자금수요로 국채 발행이 계속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남 실장은 "지난해 국고채 발행은 전년 대비 71.6% 증가한 174조5천억원에 달했고 올해도 계속 증가할 것"이라며 "또 시장의 우량채 선호가 심화하면서 A등급의 신용스프레드는 줄어들지 않으면서 신용도에 따른 회사채의 양극화 경향이 심화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주요국 경제성장률 반등…국내 GDP 성장률 3.3%

김재칠 자본연 거시금융실장은 올해 전세계 경제 성장률이 상반기 말 팬데믹 전으로 회귀할 것으로 내다봤다.

김 실장은 "주요국 경제성장률은 백신접종으로 인한 경제활동 회복, 확장적 거시경제 정책 등의 영향으로 반등할 것"이라며 "국가별 백신 접종 속도와 효과, 재정 여력 등이 핵심 변수"라고 지적했다.

국내 경제는 수출 및 소비를 중심으로 본격적인 회복세를 보여 올해 3.3% 성장할 전망이다.

김 실장은 "확장적 거시경제 정책, 자산 가격의 상승 등으로 소비 심리가 회복되고 서비스 부문의 업황도 개선될 것"이라면서도 "다만 코로나19 관련 불확실성, 선진국의 자국 내 서비스 중심 회복 가능성 등은 본격적 회복의 장애 요인"이라고 지적했다.

한미 통화정책과 금리에 대해서도 상당 기간 기준금리가 상당 기간 동결되고 완화적인 기조가 유지될 것으로 전망됐다.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은 내년 중반이 될 것으로 봤다.

김 실장은 "국채발행 규모 확대, 상존하는 여러 불확실성 등을 고려할 때 올해 중으로 한은이 통화정책 기조를 선회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며 "국채 10년 금리는 경기회복세 및 수급요인으로 인해 완만한 상승세를 예상한다"고 말했다.

syyoon@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14시 00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