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최정우 기자 = 펀드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DLS(파생결합증권) 상품에 대한 모니터링이 강화될 전망이다.

특히, 부실 역외펀드를 기반으로 하는 DLS의 발행 유인을 원천 차단하겠다는 게 금융당국의 입장이다.

10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DLS 시장동향 및 향후 대응방향'에 따르면 지난해 6월 기준 DLS의 발행 잔액은 12조7천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ELS(주가연계증권)와 ELB(주가연계파생결합사채), DLS와 DLB(원금보장형 DLS) 등을 포함한 전체 파생결합증권의 12%에 해당하는 수치다.

기초자산별로는 국가와 공공금융기관, 대기업 등의 신용위험을 기초로 발행한 DLS의 잔액이 4조4천억원으로 전체 DLS 잔액의 34.3%를 차지했다.

이 외에 ETF와 펀드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DLS가 각각 2조5천억원, 2조4천억원으로 집계됐다.

금리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DLS와 원자재 기초 DLS의 발행 잔액은 2조2천억원, 1조3천억원이었다.

이 중 손실가능성이 가장 높게 평가되는 상품은 펀드를 기반으로 하는 DLS였다.

펀드 기반 DLS는 해외부동산 등 역외펀드와 국내펀드, 부동산신탁 등과 연동돼 손익이 결정되는 상품이다.

최근 독일 헤리티지, Gen2펀드 등을 기반으로 한 DLS가 환매 중단되는 등 투자자 손실 위험이 확대되면서 신규 발행이 사실상 중단됐다는 게 금감원의 설명이다.

금감원은 지난 2019년 12월 '고위험 금융상품 투자자 보호 강화를 위한 종합개선방안'에 이어 지난해 '파생결합증권시장 건전화 방안'을 마련하는 등 시장 건전화를 도모하고 있다.

DLS와 관련해서는 올해 3월 1일 시행되는 '대체투자 리스크관리 모범규준'과 함께 부실 역외펀드를 기초로 하는 DLS 발행 유인을 차단할 계획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금년부터 본격적으로 도입되는 파생결합증권 관련 규제들이 원활히 정착되도록 유도할 것"이라며 "파생결합증권 시장 전반에 대한 모니터링 실시 및 증권회사 리스크 관리 역량 강화 등을 적극 지도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jwchoi2@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06시 00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