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 기후변화·디지털 교역 등 좁은 범위 교역 시도할 수도



(서울=연합인포맥스) 남승표 기자 =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동맹국과의 관계 복원을 내세웠지만, 아시아 동맹국들은 미국의 포괄적·점진적 경제동반자협정(CPTPP),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참여를 마냥 기다리지는 않을 것이라는 전문가 분석이 나왔다.

미국 무역대표부 협상가를 지낸 웬디 커틀러 아시아 사회 정책 연구소 부대표는 25일(현지시간) CNBC와의 인터뷰에서 "아시아는 그들의 무역협정에 따라 움직일 것"이라며 이같이 전망했다.

커틀러 부대표는 "바이든이 동맹과의 관계, 다자기구의 역할 강화 등을 말하고 있지만, 아시아에 있는 우리 동맹국들은 무역에 관한 것들을 요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현재 미국은 아시아·태평양 지역 대규모 무역협정인 CPTPP와 RCEP에 모두 빠져있다.

CPTPP의 경우 오바마 행정부에서 시작했던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 논의에서 시작했으나 트럼프 행정부가 출범 이후 논의에서 빠져 미국이 없는 상태로 진행됐다.

RCEP의 경우 중국 주도로 14개 아시아 국가가 참여했으며 22억 명의 인구와 26조2천억 달러 규모의 역대 최대 무역협정으로 평가되고 있다.

빌 클린턴 행정부에서 무역대표부 대표를 지낸 샬린 바셰프스키는 "우리가 이 시스템이 아시아에서 만들어지는 것을 도왔다. 아시아는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곳이며 이곳에서 미국이 배제되는 것을 보고 있다. 그것은 아시아가 우리를 배제했기 때문이 아니라 우리가 스스로 배제했기 때문이다"고 말했다.

일부에서는 미국이 지역 내 입지 강화를 위해 새로운 무역협정을 맺거나 혹은 CPTPP에 참여할 수 있다고 말하지만 바이든 행정부는 새로운 무역협정에 서명하기 전에 미국 내 노동자와 인프라에 대한 투자를 우선하려 한다고 여러 차례 강조했다.

특히 CPTPP의 경우 미국 내 일자리를 침해한다는 비판이 일었던 만큼 바이든 행정부의 가입이 용이하지 않을 수도 있다.

커틀러 부대표는 만약 미국의 동맹인 한국, 영국, 유럽연합(EU)이 CPTPP에 가입한다면 미국도 가입의 시급성을 느낄 수 있다면서도 이것이 유일한 대안은 아니라고 설명했다.

그녀는 "CPTPP가 미국이 아시아 태평양에 개입할 수 있는 유일한 통로라고 생각하지는 않는다"며 기후변화, 디지털 교역, 안보로서의 공급망 등 좀 더 좁은 범위의 무역협상이 출발점이 될 수 있다고 언급했다.

spnam@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2시간 더 빠른 14시 30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