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이민재 기자 = 지난해 서울 채권시장에서는 170조 원 넘는 역대 가장 큰 규모의 국고채가 발행됐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위기 대응을 위한 네 차례의 추가경정예산(추경) 편성 등으로 재정 소요가 급증한 영향이다.

기획재정부가 5일 발간한 2020년 국채백서에 따르면 작년 한 해 국고채는 총 174조5천억 원 발행된 것으로 나타났다.

전년도인 2019년 발행된 101조7천억 원과 비교해 72조8천억 원, 약 72%가량 증가했다.

증가 폭도, 발행량도 역대 최대 수준이다.

만기 차환이나 조기 상환 용도는 전년 대비 2조1천억 원 늘어난 59조3천억 원이었다.

적자 보전 수요 등에 따른 순증 규모는 115조2천억 원에 달했다.

당초 순증액은 본예산 기준 70조9천억 원이었지만 연중 44조3천억 원 확대했다.

이러한 배경에는 코로나19 위기 대응을 위해 59년 만에 처음으로 네 차례에 걸쳐 편성된 추경이 있었다.

코로나19 확산이 본격화한 작년 3월 이후 국고채 금리 변동성이 커졌지만 한국은행을 포함한 각국 중앙은행들은 기준금리 인하 조치 등 적극적인 대응에 나섰다.

지난해 상반기 세 차례의 추경 편성 속에서도 국고채 금리는 하락 추세를 유지할 수 있었다.

그러나 하반기 들어 코로나19가 장기화하면서 2차 재난지원금 지급 필요성이 제기됐고 4차 추경 논의가 시작됐다.

국고채 수급 부담에 더해 미국 내 부양책 논의와 코로나19 백신 개발 기대감 등에 따른 글로벌 금리 급등까지 맞물리며 국고채 금리는 8월부터 우상향했다.

지난해 9월 발표된 2021년 예산안에서 국고채 발행 한도가 시장 예상치였던 150조 원을 크게 상회하고 4차 추경 편성이 합의에 이르자 국고채 금리는 상승 폭을 키웠다.

정부는 수급 불균형으로 인한 금리 불안정을 해소하기 위해 대응책을 마련했다.

수요 측면에서는 국고채 전문딜러(PD)의 비경쟁인수 권한을 2~4분기 한시적으로 확대하고 PD 의무이행 실적평가 방식을 인수 중심으로 개편했다.

공급 차원에서는 수급 여건에 따라 월별·연물별 발행량을 탄력적으로 조정했다.

2021년에 만기가 집중된 국고채 물량을 적극적으로 차환하는 전략도 썼다.

작년 10월에는 국채시장 역량강화 대책을 발표했다.

글로벌 채권지수(WGBI) 편입 및 개인 투자용 국고채 신설 검토, 국고채 2년물 발행 추진, 모집 방식의 새로운 비경쟁인수 제도 신설 등이 담겼다.

지난해 말 국고채 10년물 금리는 2019년 말 대비 3.0bp 상승한 1.713%로 마감했다.

mjlee@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11시 00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