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연합인포맥스) 최욱 최진우 기자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산업구조 재편이 빨라지면서 정부가 노동이동 수요를 뒷받침하기 위해 태스크포스(TF)를 구성했다.

25일 관계부처에 따르면 정부는 청와대의 임서정 일자리 수석비서관 주재로 '노동이동 지원체계 구축 TF'를 구성하고 지난주 첫회의를 마쳤다.

TF에는 범정부, 연구기관이 대거 참여했다. 기획재정부와 고용노동부, 산업통상자원부, 중소기업벤처부 등 경제부처는 물론 노동연구원과 한국개발연구원(KDI) 등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산하 연구기관이 상당수 참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 관계자는 "코로나19로 디지털 전환이 빨라지면서 일자리 환경에 상당한 변화가 생길 것"이라며 "국가역량을 모아 기민한 대응에 나서자는 것"이라고 했다.

맥킨지가 지난해 7월 800명의 글로벌기업 중역(Senior executive)을 상대로 설문 조사한 결과 3분의 2는 자동화와 인공지능에 대한 투자를 늘리고 있다고 답했다.

이런 기조로 미국과 일본, 독일, 프랑스, 스페인, 영국, 중국, 인도 등 8개 국가에서 오는 2030년까지 1억590만명의 근로자가 일자리 전환 상황에 놓일 것이라고 분석했다.

코로나19 이전보다 12% 많은 숫자다. 결과적으로 16명 가운데 1명은 2030년까지 코로나19 이후의 상황에서 다른 직업을 찾아야 한다는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도 이와 같은 현상은 나타나고 있다. 대면 일자리의 취업자수 감소가 대표적이다.

지난해 도매 및 소매업 취업자는 전년보다 16만명 감소했다. 숙박 및 음식점업도 15만9천명 줄었다. 교육서비스업은 마이너스(-) 8만6천명이었다.

최근 백신 접종을 시작했지만 이미 관련 산업의 상당수가 비대면으로 전환한 상황에서 일자리 숫자가 회복할 가능성은 불투명하다.

반면 최근 판교를 중심으로 프로그래머에 대한 수요가 늘면서 IT 기술자에 대한 몸값은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다.

정부 관계자는 "우리나라는 디지털 기술이 더욱 발전해 다른 나라보다 더욱 빠르게 산업전환이 이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국판 뉴딜도 산업전환을 가속하는 요소로 꼽힌다.

정부는 우선 재정과 세제로 단기적인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대책 마련에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예를 들면 지난해 내놓은 40대 전직 대책이 대표적이다.

이런 가운데 노동연구원과 KDI, 산업연구원 등 여러 연구기관이 연구용역을 수행해 중장기적인 방향성을 고민할 것으로 예측된다.

wchoi@yna.co.kr

jwchoi@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09시 13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