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강수지 임하람 기자 = 정세균 국무총리가 이란을 순방해 국내에 동결된 이란 자금에 대한 해법을 찾고 있는 가운데 외환시장도 관련 소식에 주목했다.

만약 국내에 동결된 이란의 자금이 해제돼 송금될 경우 관련 자금이 서울 외환시장을 거칠 가능성도 있기 때문이다. 이것이 현실화하면 뜻밖의 환전 수요나 수급 변수가 발생할 수 있다.

13일 정치권에 따르면 현재 1박 3일 일정으로 이란을 방문 중인 정 총리는 한국에 동결된 이란 자금과 관련해 "길을 찾아서 빨리 돌려주는 게 좋다"고 언급했다.

국내에 동결된 이란의 원유 수출 대금은 70억 달러(약 7조 6천억 원)로 추정된다. 해당 자금은 우리은행과 IBK 기업은행의 이란 중앙은행 명의 계좌에 원화로 묶여 있다.

우리나라와 이란 정부는 동결자금을 '스위스 인도적 교역채널'(SHTA)을 통해 자금을 이전하거나, 이란의 UN 분담금 대납, 코백스(COVAX, 세계백신공동분배) 납부 대금 대납 등 여러 방안을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가운데 우선적인 방안으로 언급되는 SHTA를 통한 자금 이전을 통하게 되면한국이 이란 자금을 스위스 계좌로 송금하고 스위스가 이를 인도적 물품을 지원하는 형태로 이란에 보내게 된다.

전달 방식에 대한 논의는 이어질 것으로 보이지만, 일단 양국은 동결 자금 중 10억 달러를 우선 송금하는 방안을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결국 관건은 미국의 의사다. 스위스 채널을 비롯해 우리나라와 이란이 논의 중인 자금 해제 방안은 미국의 동의가 필요하다.

미국은 국내에 동결된 이란 자금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미국의 동의가 필요하고, 기존에 이란을 제재하던 입장이 바뀌지 않았다는 점을 분명히 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란 동결 자금에 대해 주인에게 돌려주는 게 맞다는 정 총리 발언에 대해 우회적으로 부정적인 입장을 드러낸 것으로 보인다.

앞서 네드 프라이스 미 국무부 대변인은 지난 2월 말 이란 동결자금과 관련해 "한국과 협의 중"이라면서도 "미국과의 협의 이후에만 풀릴 것"이라고 말했다.

외환시장 관계자들도 이란 동결 자금의 해법이 나오지 않은 상황에서 금융시장 영향을 점치기는 아직 이르다고 설명했다.

아직 미국의 동의를 얻지 못한 만큼 동결 자금 해제 여부가 불투명하고, 만약 자금이 해제된다고 하더라도 외환시장에 물량으로 출회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설명이다.

한 은행의 외환 딜러는 "관련 자금이 시장에 미칠 영향에 대해 크게 신경 쓰지 않고 있다"며 "해당 이슈가 정치적인 이슈인 만큼 당국이 관련 물량을 환시에 충격을 주면서 처리할 리는 없을 듯하고 미국 제재 이슈도 있어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해법을 찾는다고 하더라도 외국환평형기금 등을 활용할 가능성이 커 환시에 미칠 수급 영향은 없을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다.

또 동결 자금을 송금하더라도 미 달러화가 아닌 이종 통화를 활용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

다른 은행의 외환 딜러는 "아직 시기나 방법 등 구체적으로 정해진 것이 없는 상황"이라며 "지금으로선 환시 영향을 가늠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그는 "유력한 방안으로 거론되는 스위스 계좌 송금 시 현물환 시장에서 환전 수요가 발생할 수도 있겠지만, 이란이 미국 금융기관을 통하지 않으려는 만큼 달러화로 지급되지 않을 가능성도 크다"고 전했다.

sskang@yna.co.kr

hrlim@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2시간 더 빠른 09시 19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