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이윤구 기자 = 쌍용자동차가 2011년 3월 법정관리를 졸업한 지 10년 만에 다시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를 밟게 되면서 청산이냐 인수·합병(M&A)을 통한 새 주인 찾기에 성공하느냐의 기로에 서게 됐다.

서울회생법원은 15일 쌍용차에 대한 기업 회생절차 개시 결정을 내렸다.

법원은 정용원 쌍용차 기획관리본부장(전무)을 법정관리인으로 선임했다.

조사위원은 한영회계법인이 맡으며 조사보고서는 오는 6월 10일까지 제출하도록 했다.

회생 절차가 개시되면 채무자의 재산 처분권은 관리인에게 넘어간다.

이후 법원은 채권자를 비롯한 이해관계인들과 채무자 사이의 법률관계 조정을 도와주게 된다.

유동성 위기에 직면한 쌍용차는 작년 12월 기업 회생을 신청했다.

법원은 쌍용차가 기업 회생과 함께 신청한 자율 구조조정 지원(ARS) 프로그램에 따라 2차례에 걸쳐 회생 개시 결정을 미뤄왔다.

특히 유력 투자자였던 HAAH오토모티브의 투자의향서를 보정명령 시한인 지난달 31일까지 제출해달라고 쌍용차에 요구했다.

그러나 쌍용차는 HAAH오토로부터 투자의향서 등 어떠한 답변을 받지 못했다.

이에 법원은 더는 회생 개시 절차를 지연할 수 없다고 판단해 지난 2일 쌍용차 채권자협의회 등에 회생 절차 개시 여부 의견조회에 들어갔다.

HAAH오토와의 협상을 이끌었던 예병태 쌍용차 전 사장은 지난 7일 책임을 지고 물러났다.

법원은 회생 개시 결정 등의 절차를 빠르게 진행해 법정관리 조기졸업을 목표로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통상 회생 종결까지 1년 이상의 시간이 걸리지만 이를 최대한 단축하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앞서 쌍용차는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로 인한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극심한 경영난으로 2009년 1월 기업 회생을 신청했으면 2년 2개월 만에 졸업한 바 있다.

회생절차가 개시되면 법원에서 정한 회생 전문 컨설팅 회사가 쌍용차의 존속 가치를 평가한다.

회생 가치가 크다고 판단되면 재무구조 개선, 구조조정 등을 통한 정상화 방안이 추진되며 새로운 투자자를 찾을 수 있다.

이 과정에서 2009년 때처럼 대규모 인적 구조조정 과정에서 전체 임직원의 36%인 2천600여 명의 정리해고로 불거졌던 쌍용차 사태가 다시 한번 발생할 수도 있다.

다만, 구조조정 과정에 돌입하더라도 노조가 인위적 구조조정에 대해 강력히 반발하고 있다.

관리인으로 선임된 정용원 전무 역시 대규모 인력 구조조정에 부정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어 과거와 같은 사태가 재현될 가능성은 작다는 분석도 나온다.

대신 임금 삭감과 생산 효율 제고 방안 등이 강력하게 추진될 가능성이 있고 이러한 내용이 회생 계획안에 포함될 것으로 보인다.

일각에서는 쌍용차의 공익채권 규모가 3천700억원에 달해 계속기업가치보다 청산가치가 높을 수 있다는 분석이 있지만, 파산으로 실업자 2만명이 대거 양산되는 것은 정부 입장에서도 큰 부담인 만큼 존속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이에 업계에서는 법원이 쌍용차를 청산할 가능성은 작으며, 공개매각 절차를 밟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국내 전기버스 제조업체인 에디슨모터스를 비롯해 전기차 업체 케이팝모터스, 사모펀드(PEF) 박석전앤컴퍼니 등 6∼7곳이 쌍용차 인수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유력 투자자였던 HAAH오토도 공개매각이 진행될 경우 입찰에 참여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전해진다.

yglee2@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10시 51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