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진콜 하루 전까지 경영진도 내용 몰라

기초자산 변화에 따른 위험노출도 측정 못해



(서울=연합인포맥스) 남승표 기자 = 크레디트 스위스가 아케고스 캐피털의 마진콜 사태로 입은 손실이 200억 달러(한화 약 22조3천800억 원)가 넘는다고 다우존스가 소식통을 인용해 22일 보도했다.

회사의 최고경영자(CEO)인 토머스 코트슈타인과 지금은 회사를 떠난 리스크 및 컴플라이언스 최고책임자인 라라 워너는 아케고스가 마진콜에 착수하기 하루 전에야 은행의 관련 포지션을 알았다고 소식통은 전했다.

마진콜 이전에는 코트슈타인 CEO도, 워너 책임자도 아케고스가 주요 고객이라는 사실을 몰랐다고 소식통은 덧붙였다.

크레디트 스위스는 지난 6일 아케고스 관련 손실이 47억 달러(한화 약 5조3천억 원)이라고 밝힌 바 있어 정확한 손실규모 파악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풀이됐다.

크레디트 스위스 대변인은 다우존스에 관련한 언급을 거절했다.

아케고스 마진콜과 관련해 크레디트 스위스는 투자은행 부문 책임자와 직원들을 해고했고 배당을 축소한다고 발표했다. 현재 이 문제로 유럽과 미국의 규제당국의 조사에 직면했다.

아케고스는 타이거 아시아의 전 매니저였던 빌 황이 운영하는 가족회사다. 은행 대출을 통해 소수의 주식에 대규모 투자를 했으나 마진 콜 요건을 충족하지 못해 대규모 주식 매각을 불러왔다.

크레디트 스위스는 노무라, 모건스탠리 등 다른 은행과 함께 아케고스에 자금을 빌려줬으나 다른 은행보다 상대적으로 규모가 컸고 가장 나중에 빠져나왔다고 월스트리트저널이 보도한 바 있다.

은행 내부 소식통에 따르면 고위 경영진이 파악한 크레디트 스위스의 아케고스 관련 명목 노출액(notional exposure)은 200억 달러가 넘는다.

또한 크레디트 스위스가 아케고스 관련 위험에 노출됐던 이유는 기초 증권의 변화에 따른 은행의 위험노출도가 얼마인지를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시스템을 아직 구축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소식통은 설명했다.

다이나믹 마지닝(dynamic margining)이라 불리는 이 시스템은 은행 내부에서 아케고스 투자를 감독하는 부서에서 충분히 실행되지 않았으며 은행은 올해 봄쯤 아케고스 관련 포지션을 이 시스템으로 옮겨올 예정이었다고 소식통은 전했다.

아케고스는 직접 주식을 매입하는 대신 총수익스와프를 통해 비아컴 CBS, 디스커버리의 대규모 주식과 일부 기술기업과 미디어 주식을 취득했다.

아케고스가 투자한 주식 가격이 급격하게 변동했기 때문에 다른 은행들과 달리 이 시스템을 가동하지 못한 크레디트 스위스는 자체 위험을 충분히 모니터링하지 못했다.

소식통에 따르면 심지어 아케고스 관련 주식을 내다팔기 하루 전까지 경영진은 언제, 얼마나 공격적으로 관련 자산을 팔아야 하는지를 두고 충돌했다.

대조적으로 골드만삭스와 모건스탠리는 아케고스의 손실이 확실시되자 신속하게 관련 자산을 내다팔았다.

크레디트 스위스는 현지시간으로 오는 22일 올해 1분기 실적을 발표해 관련 내용도 상세히 나올 것으로 보인다고 다우존스는 전했다.

spnam@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2시간 더 빠른 09시 03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