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한종화 기자 = 정부의 탈석탄 정책과 환경·사회·지배구조(ESG) 열풍에 화석 연료를 사용하는 한국전력공사 발전 자회사들의 리스크를 점검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전문가들은 아직 ESG 도입 초기기 때문에 발전 회사들이 받는 직접적인 타격은 없지만, 향후 몇 년 내 ESG의 충격이 점차 가시화할 것으로 분석했다.

28일 금융시장에 따르면 최근 주요 금융지주는 탈석탄·탄소중립 경영을 잇달아 선언하면서 석탄발전소 건설에 대한 투자와 채권 인수를 중단하겠다는 방침을 밝히고 있다.

KB금융그룹이 작년 9월 탈석탄 금융선언으로 국내외 석탄화력발전소 건설 프로젝트에 대한 사업 참여를 중단하기로 했고, 작년 11월과 12월에는 각각 신한금융그룹과 우리금융그룹이 탈석탄과 탄소 중립을 방침을 발표했다. 하나금융그룹도 지난달 2050년까지 전 그룹에 적용하는 탄소중립 경영을 선언했다.

다만 금융지주들의 이런 선언은 아직까지 기존 석탄화력발전소를 운영하고 있는 한국전력공사 산하의 각 발전 자회사들의 신용등급이나 회사채 금리에는 큰 영향을 주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사업으로 고성과 강릉에 각각 2천80MW(메가와트) 용량 석탄화력 발전소를 운영 중인 한국남동발전은 이번달 5년만기 'AAA' 등급 1천400억 원 규모 채권을 발행했다. 이 채권의 전일 민평 금리는 1.832%로, 자기 등급 대비 1.7bp 낮은 수준이다.

태안발전본부에서 대부분 유연탄으로 6천466MW 용량의 발전소를 운영하는 한국서부발전도 작년 12월 5년물 400억 원 채권을 발행했다. 이 채권의 전일 민평 금리는 1.75%로 자기등급대비 9.9bp 낮았다.

현승희 나이스신용평가 연구원은 "ESG 확대가 사업적 측면에서 직접적인 타격이 될 정도로 영향이 크지는 않다"며 "다만 정부에서 친환경 전환에 대해서 우호적인 정책 방향을 펴는 부분이 영향을 미칠 수는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화진 현대차증권 연구원은 "석탄 화력 회사가 에너지 전환 노력을 기울이는 것도 ESG 입장에서 플러스 요인"이라며 "발전 자회사들의 채권에 가산금리가 붙을 것으로 단정짓기는 애매하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실제 자금줄을 쥐고 있는 은행에서도 아직까지는 발전소를 운영하는 회사에 대해 차별을 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중은행의 한 관계자는 "자금의 용도가 명백하게 석탄화력 발전으로 간다고 하면 영향이 있다"면서도 "운영자금 등 발전 프로젝트파이낸싱(PF) 외에 다른 용도의 자금도 있기 때문에 단순히 발전 자회사라는 이유로 자금을 막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다만 향후 몇 년 내에는 ESG 흐름이 화석연료 사업을 하는 업체들에 대해 더 강력한 제약을 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시중은행의 관계자는 "탈석탄 이외에도 탄소배출 업종에 대해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앞으로 포트폴리오 자체를 제한하려는 움직임이 있다"며 "지금 당장은 아니더라도 앞으로는 이전과 다를 것"이라고 강조했다.

현승희 연구원은 "향후 금융기관들이 지속적으로 투자 대상에서 화석 연료 분야를 배제하는 과정이 심화하면 차환 등 부분에서 고려할 측면이 많아질 것"이라며 "다만 기간산업으로서의 중요성이 있어 단기적으로 크게 축소는 어려울 것"이라고 설명했다.

jhhan@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2시간 더 빠른 13시 29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