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송하린 기자 = 선진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백신 보급율이 취약 신흥국을 중심으로 금융 불안을 야기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왔다.

강현주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30일 한국국제금융학회와 한국금융연구원 공동 주최로 열린 '글로벌 경제정책 정상화 기대에 따른 금융시장 위험요인과 정책과제' 정책세미나에서 이같이 말했다.

강 연구위원은 "단기적으로 한국과 미국 간 금리 동조화로 국내금리가 기초경제 여건에 걸맞지 않은 수준으로 상승하면서 부채부담이 커지고 주가의 가격조정이 심화할 수 있다"며 "자산가격의 상관관계 확대로 위험관리 어려움이 가중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또 "미국이 서비스업 중심으로 경기가 회복하는 가운데 신흥국이 낮은 백신 보급률로 경기회복이 지연돼 미국과 신흥국간 성장격차가 심화할 경우, 취약 신흥국을 중심으로 금융 불안이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강 연구위원은 올해 중 인플레이션이 일시적으로 상승한 뒤 점차 안정될 것이라는 견해가 컨센서스라고 설명했다.

그는 "최근 인플레이션 기대가 커지고 위험 인식이 높아진 것이 사실이지만, 지금으로부터 5년이 지난 시점의 평균적인 인플레이션 수준을 보여주는 인플레이션 스와프는 안정적"이라고 얘기했다.

그러면서도 "장기적으로는 인플레이션이 확대되면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정책 기조가 급선회하면서 금리 인상이 가팔라질 경우 글로벌 경기 인식이 급속히 악화할 수 있다"며 "이와 반대로 코로나19 이전의 저물가로 회귀하면 저물가를 타개할 새로운 거시 안정화 정책 체계를 고민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금리 추가상승 여력은 향후 통화정책 기조의 급격한 변화가 없다면 다소 제한적일 수 있다고 얘기했다.

강 연구위원은 "최근 장기금리 변동을 좌우한 기간 프리미엄이 지난 2016년 말 연준이 금리인상을 본격화하고 보유자산을 매각하던 시점과 같은 수준으로 상승했다"며 "시장에 테이퍼링이 이미 금리에 반영돼있는 상황이라고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인플레이션이 예상을 크게 상회할 경우 기준금리의 조기인상 가능성이 확대되면서 장기금리가 재차 상승압력을 받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반면 성태윤 연세대학교 경제학부 교수는 인플레이션과 채권금리에 대한 압력이 높아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성 교수는 "실물경기는 기준금리 1.5%포인트 인하 전으로 돌아갔는데 금리는 제로금리를 상당 기간 유지하게 되면 인플레이션 압력은 불가피하다"며 "인플레이션 스와프와 달리 물가연동국채에 일반국채 수익률을 뺀 수치는 최근에 급격히 상승했고, 인플레이션 헤지 수단인 부동산 가격 역시 최근 미국에서 급등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한국은 경기회복에 따른 소비자물가상승률이 높지 않은 상황에서 금리도 높지 않고, GDP 대비 국가채무비율도 급증하는 상황이라 장기물에 대한 압력을 높이고 있다"며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유지하는 스탠스를 취하더라도 이자율 변동에 노출된 채권시장과 신용도 떨어지는 기업을 중심으로 위험도가 증가하는 부분은 불가피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김소영 서울대학교 경제학부 교수는 "코로나19 종식 후 급격한 경제반등으로 금융 불안, 인플레이션 압력 등이 예상보다 빨리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며 "금리 정상화, 유동성 흡수, 정부 부채 증가 속도 완화 등 거시경제정책의 정상화 타이밍은 더 빠르고 신속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김 교수는 "코로나 사태 때는 자본 유출 반전 없이 동학개미 반응이 금융안정에 중요한 역할을 했지만, 주가가 이전보다 오른 상태에서도 향후 지속해서 동학개미의 역할을 기대할 수 있을지 불확실하다"며 "자본유입 경로 변화, 경제주체의 대응 변화 등을 살펴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코로나 이후 미국의 정책 정상화 과정에 이르기까지 발생할 수 있는 대규모 글로벌 금융 사이클을 유의해야 한다"며 "가계부채 및 정부부채 급증, 실물과 금융의 괴리현상 등 국내에서 발행할 수 있는 위험요인도 지켜봐야 한다"고 했다.

박성욱 한국금융연구원 거시경제연구실장은 "통화정책은 전체 경제 상황에 따라 완화 정도를 조절하는 정책 조합을 구사해야 한다"며 "상황 전개에 따라 코로나 이전 수준으로 정상화되기 어려운 부분은 고용보험 등 사회보장제도 강화를 통해 효율적인 자원배분이 일어나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hrsong@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16시 17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