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이민재 기자 = 정부 세수가 증가세를 보이는 가운데 채권시장에 강세 재료로 작용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세수가 증가하면 연내 국고채 바이백 규모가 늘어날 수 있고, 내년도 국고채 발행계획에서 적자국채 편성이 줄어들 여지가 있다는 점에서다.

채권시장 참가자들은 최근 미국 국채 금리가 하향 안정화하는 모습을 보인 것도 국채발행 증가 우려를 증세 정책이 일부 완화한 측면이 있다고 진단했다. 다만 국내에선 자영업 손실보상제 추진 등에 따른 세출 우려를 걱정하는 의견도 있었다.

12일 기획재정부가 최근 발표한 '월간 재정동향 및 이슈 5월호'에 따르면 올해 들어 1분기까지 세수는 88조5천억 원으로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19조 원 증가했다.

부동산과 주식 거래가 증가한 데다 상장법인의 실적까지 뒷받침한 결과다.

해당 기간 소득세는 6조4천억 원, 법인세는 4조8천억 원 확대했다.

세외수입은 한국은행 잉여금과 우정사업수입 증가로 1조5천억 원 늘었고 기금수입은 12조1천억 원 많아졌다.

향후 5년에 걸쳐 납부될 고(故)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 유산 상속세인 12조 원은 지난해 우리 정부의 상속세 전체 세입 규모의 3~4배에 이른다.

채권시장 참가자들은 세수 증가와 관련해 미국 국채시장으로 시선을 돌려 미 행정부의 증세 정책이 미 국채 장기금리 안정세 등에 미친 영향에 주목했다.

미국 국채 10년물 금리는 지난달 말부터 우하향을 그리며 1.5%대에 진입한 뒤 최근 1.6%를 소폭 상회한 상태다.

김상훈 KB증권 연구원은 "3월 말~4월 초 증세안이 발표되며 미 채권시장의 기류가 다소 변화했다"며 "당초 증세가 국채발행 증가를 일부 상쇄할 수도 있을 것으로 평가했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미 재무부의 5~7월 국채발행 계획에서 이표채 발행증가가 일단 멈췄다는 인식 속에 금리상승 제한, 금리하락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채권시장 참가자들은 세수 증가가 당장 영향을 미치지는 않더라도 연말에 가까워지면서 당국이 국고채 조기상환(바이백) 등을 늘리는 요인이 될 수 있다고 관측했다.

지난해 말 발표된 2021년 국고채 발행 물량 176조4천억 원 가운데 국고채 교환과 바이백 등 시장 조성용은 8조 원 수준이었다.

내년도 국고채 발행계획에서 적자국채 규모 또한 줄어들 수 있다고 기대된다.

당초 올해 계획된 적자국채는 93조5천억 원이었으나 추가경정예산(추경) 편성 등으로 10조5천억 원 수준 증가했다.

증권사의 한 채권 운용역은 "세수가 좋으면 적자국채 발행 유인이 줄어들어 강세재료이기는 하지만 한 번에 반영되지는 않고 연말께에는 반영될 수 있겠다"며 "세출이 변동 없다는 가정하에 세입이 늘어나는 것은 적자국채 감소 요인으로 볼 수 있다"고 전했다.

다만 자영업 손실보상 등에 따른 적자국채 발행 우려감도 작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증권사의 채권 운용역은 "세수가 늘어나는 추세에서 채권시장에 다른 변수가 없으면 강세 재료로 볼 수 있겠지만 재난지원금 관련 노이즈가 계속해서 나오고 있다"고 말했다.

mjlee@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2시간 더 빠른 10시 45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