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채권팀 = 서울채권시장의 금리 급등 공포가 가시지 않고 있다. 지난 6일에 국고채 3년물 기준 민평금리가 7.5bp, 금통위 날에는 10.8bp, 전일에는 8.8bp가 치솟았다. 이달에만 벌써 20bp 넘게 상승했다. 9월의 패닉이 이어지는 상황이다.

금리가 대폭 오르게 만든 재료는 크게 세 가지다. 이주열 총재를 비롯한 한국은행의 매파적 스탠스, 미국을 비롯한 글로벌 채권금리 상승, 외국인의 국채선물 매도 등이다.

재료가 오픈됐기에 위기라고 부르긴 애매하지만, 시장참가자들이 체감하는 강도는 위기급이다. 원인을 세밀하게 분석해야 대응 방안도 떠오르는 법이다. 연합인포맥스는 시장참가자들로부터 역대급 금리 상승을 가져온 변수들의 비중을 따져봤다.

19일 연합인포맥스가 다수의 서울채권시장 참가자들로부터 최근 금리상승의 원인을 비중 별로 조사해본 결과, 예상보다 빠른 금융통화위원회의 금리인상 사이클이 금리상승 분의 50% 이상을 차지한다는 컨센서스가 형성됐다.

한 증권사의 채권 관계자는 "심정적으로는 이주열 한은 총재가 100%라고 해도 무리가 없지만, 종합적으로 따져보면 이주열 50%, 미국채 10%, 외국인 40% 정도 되지 않을까 싶다"며 "시작은 외국인, 끝은 이주열 한은 총재가 한 느낌"이라고 말했다.

한 은행의 채권 관계자는 "이주열 총재의 스탠스와 미국 금리는 어느 정도 엮여있을 것으로 보이는데, 이번에는 외국인도 원화채 시장에서 피해가 막심하다"며 "이주열 한은 총재가 80%는 차지한다"고 전했다.

이주열 총재를 자극한 국내 경제 지표로는 부동산이 제일 크게 지목됐다. 주요국과 비교하면 우리나라의 금리인상이 빠르고, 정책 스탠스도 유독 호키시(매파적) 하기 때문이다.

다른 증권사의 채권 관계자는 "집값 오른 게 100%다. 선진국 중 금리를 인상한 곳이 우리나라와 뉴질랜드 정도인데 둘다 집값 상승세가 결정적이다. 가계부채의 연결고리가 너무 심했다"고 진단했다.

이주열 한은 총재가 금리인상이라는 '마이웨이'를 가는 듯하지만, 어느 때보다 정책 공조를 강조하는 것도 현실이다. 정치권까지 이 총재를 옹호하다 보니 서울채권시장에 미치는 이 총재의 입김이 세지고 있다고 시장참가자들은 판단했다.

또 다른 증권사의 채권 관계자는 "금통위의 결정이 당정청의 암묵적인, 혹은 명시적인 용인하에서 이뤄진 것이라고 보면 이주열 총재의 지분에 당정이 빠질 순 없다"며 "총재가 조금 느리게 가고 싶어도 결국은 압박을 받는 부분도 있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금융시장부 채권팀 이재헌, 한종화, 이민재, 노요빈 기자)

jhlee2@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2시간 더 빠른 09시 40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