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오진우 기자 =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26일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를 연 1.75%로 25bp 인상했다.

국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5%에 육박하고, 기대인플레이션도 지속 뜀박질하는 만큼 물가 관리가 시급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이번 금리 인상은 시장이 예상했던 조치다. 연합인포맥스가 지난 20일 국내외 금융기관 16곳을 대상으로 조사한 기준금리 전망치(화면번호 8852)에 따르면, 15개 기관이 금리 인상을 예상했다.

금통위는 물가 상황이 갈수록 악화하는 만큼 지난 4월에 이어 또 한 번 금리를 올릴 필요가 있다고 봤다.

국내 소비자물가상승률(CPI)은 지난 3월에 4.1%를 기록하더니, 4월에는 4.8%로 치솟았다. 금융위기 당시인 2008년 10월 이후 약 14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었다.

에너지와 식료품을 제외한 근원물가도 3.1% 오르며 2009년 이후 최고치를 갈아치웠다.

여기에 5월 기대인플레이션이 3.3%로 2012년 10월 이후 최고를 기록하는 등 물가 상황이 기록적으로 악화했다.

공급망 차질과 우크라이나 전쟁 등 공급 측면의 물가 충격과 코로나19 이후 소비 활성화에 따른 수요 측면 압력이 합쳐진 가운데, 심리 경로를 통해 물가 상승이 더욱 가속하는 '2차 효과'도 본격화하는 양상이다. 임금 상승발 물가 압력도 고조되는 중이다.

물가가 안정될 요인이 보이지 않는 가운데, 한은이 내놓을 물가 전망이 4%대 중반 수준까지 상향 조정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향후 경기 전망이 다소 악화하기는 했지만, 물가 심리를 다잡는 것이 통화정책의 급선무가 된 셈이다.

외환시장 상황도 금통위의 금리 인상 결정을 재촉한 요인으로 꼽힌다. 달러-원 환율은 월초 한때 1,290원 선도 넘어서는 등 고공행진 중이다. 빅스텝 금리 이상 기조에 돌입한 미국과의 금리 역전 전망 등이 반영된 영향이다.

달러-원의 상승은 자본유출 우려를 자극하는 것은 물론 물가 상승 압력을 가중한다.

지난 4월 금통위 의사록을 보면 일부 위원들은 금리 결정에서 환율 문제도 전략적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jwoh@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09시 45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