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황병극 기자 = 인천 송도가 녹색기후기금(GCF) 사무국을 유치하는 형식적인 절차를 사실상 마무리했다. 그러나 앞으로 GCF 기금 조성과 기존 사무국 직원들의 송도 이전 등 풀어야 할 또 다른 숙제를 안게 됐다.

녹색기후기금(GCF) 이사회가 지난 10월20일 송도를 사무국 유치도시로 선정한 데 이어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COP18)가 지난 주말에 카타르 도하에서 열린 전체회의에서 10월 GCF 의사회의 결정을 만장일치로 인준했다. 이에 따라 송도가 GCF를 유치하는 도시로 최종적으로 결정됐다.

그러나 송도가 GCF 사무국 유치를 계기로 명실상부한 국제도시로 거듭날 것이란 기대가 현실화되려면 해결해야 할 문제도 적지 않다. GCF의 송도 유치 자체로 샴페인을 터트리기에는 시기상조라는 의미다.

무엇보다 GCF 기금마련이 당면한 숙제다. 당초 GCF 기금을 매년 확대해 오는 2020년에는 연간으로 1천억달러를 조성하기로 했다. 내년부터 연간 기금규모를 어느 정도로 정할지도 이번 카타르 총회에서 결정할 예정이었으나 협의점을 찾지 못했다.

개발도상국들이 2015년까지 재정지원을 통해서 600억달러를 지원하겠다는 약속을 문서로 남기라고 요구했으나 글로벌 재정위기로 선진국들이 재정지원 논의를 꺼리는 탓이다. 결과적으로 '자금조성에 대한 전략을 내년 11월 폴란드 바르샤바 총회 때 제시한다'는 수준에서 협의를 마쳤다. 이에 따라 GCF가 국제통화기금(IMF)을 웃돌 것이란 '장밋빛 전망'에 차질이 생겼다.

박재완 기획재정부 장관이 지난 카타르에서 "송도를 GCF 유치도시로 최정 인준한 데 대해서 감사를 표명한다"면서도 "아직 파이낸싱에 대한 준비가 부족하다. 국제사회의 관심과 협조가 절실하다"고 주문한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내부적으로는 GCF 사무국의 송도 이전을 포함해 각종 법과 제도적인 과제를 추진해야 한다. GCF에 지원하기로 한 건물들은 내년 2월부터 입주할 수 있는 상태이나 이에 앞서 법적인 절차를 마무리해야 하기 때문이다.

재정부도 후속조치의 하나로 국제기구의 이전을 위해서 협정문을 만들고 GCF와 세부적인 조정을 벌여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러한 절차들이 마무리된 뒤에는 우리나라 국회에서 승인을 받아야 한다. 실제 GCF 임시사무국의 송도 이전도 당초 예정됐던 2월보다 다소 늦어진 7월 중순경에야 가능할 것으로 추정됐다.

재정부의 한 관계자도 "국제기구가 특정 나라로 이전하려면 협정문 작성이 필요한데, 일정상으로 내년 3월 중순에야 GCF 이사회가 협정문을 승인할 수 있다"며 "이를 토대로 국회 승인은 6월 말경에야 마무리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는 범부처 차원의 가칭 'GCF 기획단'을 만들기로 했다. 법.제도 정비와 상주 외국인력의 거주여건 개선 등을 차질없이 지원함으로써 GCF가 송도에 조기에 안착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겠다는 취지다.

이 관계자는 "올해 범정부적인 노력으로 GCF 사무국을 송도로 유치하는 성과를 냈다"면서도 "그러나 앞으로 송도를 GCF를 주도하는 명실상부한 국제도시로 거듭나게 하려면 이제부터 어떻게 준비하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아직 GCF 사무총장 임명이나 구체적인 비즈니스 모델 등이 결정되지 않았다"며 "기금이 마련되려면 이런 문제들부터 미리 해결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eco@yna.co.kr

http://blog.yonhapnews.co.kr/eco28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