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황병극 기자 = 일본의 공격적인 양적 완화와 엔저 현상 유도로 이른바 '환율전쟁'이 확산되는 가운데 최근 글로벌 환율갈등이 지난 2010년 하반기에 나타났던 양상과 차이점도 적지 않은 것으로 평가됐다.

국제금융센터는 1일 '최근 환율갈등 특징 및 향후 전망'이란 제목의 보고서를 통해 환율문제를 둘러싼 각국의 갈등이 지속적으로 존재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하면서도 과거 다른 시기의 환율갈등과 다른 특징이 있다고 진단했다.

국제금융센터가 지목한 최근과 과거의 글로벌 환율갈등의 차이는 ▲위기극복과 경제회복 과정에서 부각된 점 ▲환율갈등의 주요 당사자가 변했다는 점 ▲특정국 통화가치 강세요구가 아닌 자국통화의 가치상승 억제에 초점이 맞춰지고 있는 점 ▲특정국 환율정책에 대한 일방적인 비난의 명분화 약해진 점 등이다.

과거 환율갈등이 주로 글로벌 불균형에서 비롯된 반면 최근에는 위기극복과 경제회복을 위한 추가적인 양적 완화에 대한 불안에서 비롯됐다고 센터는 설명했다. 이는 잇따른 선진국의 양적 완화가 위기극복 기능보다 과도한 유동성 팽창으로 말미암은 부작용이 크다는 인식에 근거를 두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2010년 환율갈등의 당사자가 미국과 중국이었던 것과 달리 최근에는 신흥국과 일본, 독일과 일본의 갈등으로 치닫는 것도 다른 점이다.

미국은 2010년 당시 중국을 환율조작국이라고 겨냥하며 보복 관세까지 논의했던 것과 달리 최근 엔화 변화에는 소극적으로 일관하고 있다. 최근 환율전쟁의 정도가 상대적으로 약하고 국지적인 갈등이란 평가가 나오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또 과거에는 중국 위안화 등 특정국가의 통화가치가 저평가됐기 때문에 이를 해소해야 한다는 주장이 갈등의 주된 요인이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엔화가 다시 강세를 나타내야 한다는 주장보다는, 엔화 조정과정에서 유발되는 자국 통화가치의 단기 급상승과 이에 따른 자국 경기회복 저해 등이 주된 관심사다.

아울러 특정국의 환율정책을 과도하게 비난할 경우 역공을 당할 수 있는 취약점도 내포하고 있다고 센터는 설명했다. 선진국의 양적완화가 환율갈등의 단초가 됐으나 선진국의 대책으로 신흥국도 신용경색 위험해소 등의 일부 혜택을 누린 데다 환율안정을 위한 거시건전성 조치도 일부 추진하고 있기 때문이다.

국제금융센터는 글로벌 환율갈등이 강화될 요인과 약화될 요인이 병존하고 있다면서도, 다만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세계적으로 저성장 국면이 장기화됨에 따라 환율갈등은 정도의 차이만 있을 뿐 지속적으로 존재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경기부양을 위한 재정정책과 통화정책 등 여러 정책수단이 상당 부분 소진된 상황에서, 각국의 환율에 대한 정책적인 관심이 높아질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다.

eco@yna.co.kr

http://blog.yonhapnews.co.kr/eco28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