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남승표 기자 = 빚을 갚지 못해 경매 중인 수도권 아파트 중 2건 이상의 채무를 지닌 다중채무 비중이 90%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채권자 분포도 다양해 사전 채무조정, 보유주택지분매각 등 박근혜 정부의 하우스푸어 대책이 실효성을 띠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7일 연합인포맥스가 부동산경매전문업체 지지옥션에 의뢰해 조사한 결과, 현재 경매가 진행 중인 수도권 아파트 1천97개 중 2건 이상의 채무를 진 다중채무사례가 971건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대상은 현재 법원에 경매가 진행 중인 아파트로 제한했으며 채무는 등기부등본에 설정된 근저당, 저당, 압류, 가압류, 가처분 등을 중심으로 파악했다.

건별 분포를 보면 채권이 1건인 아파트가 120개, 2건 197개, 3건 215개로 나타났으며 4건 이상인 경우도 559개로 전체 경매 물건의 절반에 달했다.





부동산 블루칩으로 불리는 강남 3구는 상황이 더 나빴다.

강남, 서초, 송파 등 강남 3구는 경매 중인 아파트 48건 중 45건이 다중 채무를 지닌 것으로 파악됐고 4건 이상인 아파트도 33건으로 70%에 육박했다.





채권별 분포를 보면 근저당 설정건수가 2천203건으로 가장 많았고 가압류 1천369건, 압류 671건으로 나타났다. 대체로 근저당설정은 은행 등 금융기관, 가압류는 개인이 많았고, 압류는 국세청과 지방자치단체 등 정부기관으로 파악됐다.

전문가들은 차기 정부의 하우스푸어 대책으로 보유주택지분매각, 사전채무조정 등이 거론되지만 이처럼 다중채무 비중이 높으면 현실적으로 실현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최광석 변호사는 "법원 외에 다양한 이해관계를 지닌 채권자들을 한 곳에 모아 정리할 수 있는 권한을 지닌 기관이 있을지 의문"이라며 "채권의 회수시기를 늦추는 것도 단순한 문제가 아니다"고 말했다.

하유정 지지옥션 연구원은 "하우스푸어들은 대체로 법원 경매를 피하기 위해 여기저기서 돈을 끌어쓰는 경우가 많다"며 "경매 결과가 나오기 전에 권리관계를 파악하는 것은 오랜 경험을 지닌 투자자에게도 어려운 일"이라고 설명했다.

spnam@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