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이팔성 우리금융지주 회장의 퇴진 여부를 놓고 우리금융의 분위기가 뒤숭숭하다.

우리금융의 신사업이나 자회사 최고경영자(CEO) 인사는 뒤로 밀린 상태다. 전 임직원의 눈과 귀가 회장실만 향한 모습이다.

신제윤 금융위원장은 지난 4일 기자간담회에서 이 회장의 거취에 대한 질문에 "(본인이)알아서 잘 판단하실 것이다"고 답했다. 또 "정부와 민영화 의지와 철학을 같이할 수 있는 분이 우리금융을 맡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 회장에게 사실상 사퇴를 요구한 셈이다.

신 위원장의 발언이 나온 지 엿새째지만 이 회장은 아무런 움직임이 없다. 그는 주변에 "내 임기는 내년 3월까지다"며 완주할 의사를 여러 차례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CEO 거취 문제가 불거지면서 우리금융 임원들의 눈치 보기는 갈수록 심해지고 있다. 새 정부가 들어서기 전부터 'MB맨(이명박 대통령의 사람들)'인 이 회장이 물러날 것이라는 전망이 고개를 들었고, 신 위원장의 발언으로 분위기는 더욱 뒤숭숭해졌다.

한 임원은 "새 회장이 오면 임원들의 자리가 달라지거나 추진하던 사업이 변경될 수 있다"며 "관심이 온통 CEO 거취에 쏠려 있다"고 말했다.

우리금융의 해외 금융사 인수·합병(M&A)이나 글로벌 시장 진출 등 중장기 사업은 뒤로 밀려나 있다.

자회사 CEO 인사도 지연되고 있다. 이승주 우리프라이빗에쿼티(PE) 대표와 우리FIS의 권숙교 대표 등은 지난달 말로 임기가 끝났지만 대표이사직을 유지하고 있다. 우리금융경영연구소 대표 자리도 3주 가까이 비어 있다.

일각에서는 이 회장이 '버티기'에 나설 경우 우리금융 전체로 피해가 확산될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 감사원이나 금융감독원, 예금보험공사가 동원돼 이 회장에게 사임 압력을 가하면 조직과 직원들도 함께 다칠 수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강정원 전 국민은행장은 금융당국의 부정적 시각에도 KB금융지주 회장직에 도전했다가 강 전 행장을 포함해 국민은행 임직원 88명이 금융감독원 징계를 받는 결과를 불러왔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우리금융이 지배구조 불확실성에 시달리지 않도록 이 회장의 거취가 빨리 결정되는 편이 옳다고 본다"고 말했다.(산업증권부 이미란 기자)

mrlee@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