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이종혁 기자 = 건설업계와 정부가 머리를 맞대고 산업특성을 반영하는 회계 지침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최근 대형 건설사까지 갑작스러운 손실 고백에 나서면서 투자자들이 피해를 보고 있기 때문이다.

5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이 건설사의 장기공사 수익성에 대한 테마감리에 나선 탓에 올초 대우건설, 대림산업 등 대형사가 대규모 손실 고백에 나섰다.

이들은 합당한 회계기준의 원칙 내에서 손실처리를 한 것이며 법상 문제가 없다는 태도이지만, 뜬금없는 대규모 손실 탓에 실적 전망치는 대폭 하향조정됐다.

투자자들은 속은 기분이 들 수밖에 없었다. 그 결과는 금융시장이 건설사 회계처리에 대해 전혀 믿지 못하겠다는 반응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건설사가 신뢰를 회복하고, 투자자들을 안심시키려면 업계와 정부가 다시 머리를 맞대야 할 때라고 조언했다.

2010년 국제회계기준(IFRS) 도입시기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우발채무의 회계처리와 관련해 건설업계와 정부가 힘을 합쳐 절충안을 낸 적이 있기 때문이다.

당시 건설업계는 IFRS 도입으로 PF 우발채무의 부채비율 합산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재무건전성이 크게 악화될 것으로 우려했지만, 금융감독원이 건설업계의 특수한 사업구조를 반영한 절충안을 내놓으면서 공포가 안도로 바뀐 바 있다.

신용평가업계는 또 업계와 정부가 새로운 모범규준을 마련하는 것도 바람직하지만, 무엇보다 분식 혐의까지 받는 건설업계가 먼저 자기 검열을 강화하는 모습부터 보여야 할 때라는 충고도 내놨다.

신평사 관계자는 "건설사 손실 처리 문제가 판단의 영역이기는 하지만 대형사일수록 회계법인에 자기주장을 더 관철할 수 있는 게 현실"이라며 "특히 건설사들이 금융회사나 신평사에 제출하는 아파트 분양률은 허수인 경우가 많았다"고 설명했다.

건설사 관계자는 "분식 의혹도 결국 느슨한 손실 처리 탓에 자초한 점도 없지않다"며 "건설사CEO의 분식 유혹을 통제하되 산업의 특성은 반영할 수 있는 새로운 손실처리에 대한 회계기준 정립이 필요한 때"라고 말했다.

liberte@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