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기 가계신용 4분기 만에 감소…주담대 증가세 둔화
(서울=연합인포맥스) 윤은별 기자 = 올해 1분기 전체 가계신용(빚)이 4분기 만에 감소 전환했다.
가계대출 관리 조치가 강화되고 주택담보대출(주담대) 증가세가 둔화한 영향으로 풀이됐다.
21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4년 1/4분기 가계신용(잠정)'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말 가계신용 잔액은 1천882조8천억원으로 전 분기 말 대비 2조5천억원 감소했다.
이는 전 분기 대비 증감액 기준 4분기 만에 감소 전환한 것이다.
가계신용은 가계가 은행·보험사·대부업체·공적 금융기관 등에서 받은 대출에 결제 전 카드 사용 금액(판매신용)까지 더한 '포괄적 가계 빚(부채)'을 말한다.
가계대출 잔액은 1천767조원으로 전 분기 말 대비 2천억원 감소했고, 판매신용 잔액은 115조8천억원으로 2조3천억원 감소했다.
상품별로는 대체로 증가 폭이 축소하거나 감소 폭이 확대했다.
주담대 잔액은 전기 대비 12조4천억원 증가한 1천76조7천억원을 기록했다. 전기 15조2천억원에 비해 증가 규모가 줄었다. 정책 모기지 대출이 줄어들고 주택 거래량이 감소한 영향이다.
신용 대출을 포함한 기타 대출 잔액은 12조6천억원 줄어 690조4천억원을 기록했다.
창구별로 살펴보면, 예금은행 가계신용 잔액은 전 분기 말 대비 각각 3조2천억원 증가했다. 다만 주담대 둔화 영향으로 전 분기보다 증가 폭이 축소했다. 기타금융기관 등도 4조6천억원 증가했다.
비은행예금취급기관은 부동산 대출 관련 리스크 관리가 강화되며 8조원 감소했다. 전기 대비 감소 폭을 확대했다.
한은 관계자는 "신용 대출 감소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주담대가 정부의 가계대출 관리 강화 조치와 주택 거래량 감소 등으로 인해 축소됐다. 판매 신용도 계절적 요인으로 줄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GDP 대비 부채 비율이 연간으로 줄어들고 있고 1분기에도 하락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ebyun@yna.co.kr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