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은보 이사장 "불법 공매도 중앙점검시스템 1년 내 구축할 것"
공매도 재개 시점 즉답은 피해
'좀비기업' 정리를 통해 건전한 투자 수요 전환할 것
(서울=연합인포맥스) 장순환 박경은 기자 = 취임 100일을 맞은 정은보 한국거래소 이사장이 불공정거래에 대한 대응 역량 강화를 강조했다.
공매도 재개 여부에는 확답을 피하면서도 불법 공매도 차단을 위한 중앙점검시스템을 1년 이내에 구축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정 이사장은 지난 24일 한국거래소 서울사옥에서 취임 100일을 맞아 기자간담회를 개최했다.
그는 질의응답에서 공매도 재개 관련 질문에 "불법 공매도에 대한 시장 관리를 하는 세 곳의 기관이 각자 역할을 해 나가면서 최종적으로 정책이 결정될 것이다. 거래소의 기술적 측면이 종합적으로 고려될 것으로 생각한다"며 즉답을 피했다.
이어 "한국거래소는 공매도에 대한 중앙점검 시스템을 만드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며 "시스템 개발 시간은 1년, 단축하면 10개월 정도로 예상한다"고 설명했다.
현재 한국거래소는 KRX 공매도 중앙점검시스템 구축을 추진 중이다. 순 보유잔고 보고 대상인 기관투자자는 일별 매도 가능 잔고 및 변동 내역을 보고하고, 한국거래소가 이 잔고와 거래 내역을 집계해 비교한다. 감시 사각지대를 해소해 불법 공매도를 억제하는 전략이다.
아울러 코리아 디스카운트를 해결하기 위한 증시 선순환 구조를 구현하기 위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정 이사장은 "현재 유가증권시장이나 코스닥 상장 기업이 2천600여곳으로 주요 국가와 비교했을 때 많다"며 "원칙에 입각한 '좀비기업' 정리를 통해 건전한 방향으로 투자 수요를 전환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원칙에 따른 퇴출이 반드시 이뤄져야 건전한 자본시장, 밸류업 프로그램에도 도움이 된다"고 강조했다.
한국거래소는 현재 퇴출 제도 개선을 위해 검토를 시작했으며, 용역 발주 및 정책 당국과의 협의를 진행할 계획이다.
또한, 증권시장의 진입과 퇴출제도를 합리화하기 위해 상장심사의 관행을 개선하고, 상장폐지 관련 매매 거래 정지 기간 단축도 추진한다.
기존 유가증권시장 상장 법인의 개선 기간을 4년에서 2년으로 단축하고, 코스닥 상장 법인의 경우 위원회 심사를 현행 3심제에서 2심제로 줄인다.
이날 간담회의 주제가 '기업 밸류업·자본시장 레벨업을 위한 핵심전략 발표'인 만큼, 정 이사장은 밸류업 프로그램의 취지와 추진 방향도 설명했다.
우선 이달 중순께 다녀온 글로벌 로드쇼에서 해외 투자자들의 관심이 뜨거웠다고 강조했다.
정 이사장은 "해외 투자자가 중국에 투자해뒀던 자금을 회수하는 과정에 있다"며 "이 자금을 어느 지역에 투자할지 결정하는 과정에서 한국의 밸류업 프로그램에 많은 관심을 보였다"고 전했다.
기업의 자율성에 방점을 둔 만큼 프로그램의 효과가 떨어질 수 있지 않냐는 일각의 지적에 대해서는 동의하지 않았다.
정 이사장은 "밸류업 프로그램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규제가 도입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한다"며 "긴 호흡으로 프로그램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밸류업이 장기적인 자본 시장의 문화로 정착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기업의 밸류업 참여 시기에 대해 "준비가 된 기업부터 먼저 시작할 것으로 예상한다"면서도 "일본의 사례를 보면 정책 발표 시점에서 4개월 정도 후에 대상 기업 중 13%가 참여했다"고 말했다.
그는 "관심 있는 곳들이 예고 공시를 먼저 진행하면서 자연스러운 절차를 거쳐서 공시가 이뤄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shjang@yna.co.kr
gepark@yna.co.kr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