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의·부실우려' PF 사업장, 내달까지 사후계획 제출해야
4천600억 규모 부실채권 정리펀드 추가 조성
3월 말 금융권 부동산PF 연체율 3.55%로 악화
(서울=연합인포맥스) 정원 기자 = 금융당국이 프로젝트파이낸싱(PF) 사업성 평가와 부실 사업장에 대한 사후계획을 내달까지 보고할 것을 주문했다.
금융당국은 이달 중 업권별 모범규준 개정을 추진한 뒤, 유의·부실우려로 분류된 사업장에 대한 관리에 고삐를 죌 계획이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 기획재정부, 국토교통부 등 관계기관은 합동으로 5일 '제2차 부동산 PF 연착륙 대책 점검회의'를 열고 세부방안별 추진 일정 및 1분기 말 PF 대출 현황 등을 점검했다.
금감원은 금융사들이 제출한 부실 사업장 사후관리 계획을 토대로 8월부터는 진행 현황을 점검할 예정이다.
부동산PF에 대한 원활한 자금공급과 재구조화·정리를 위해 추진하고 있는 한시적 금융 규제완화 조치는 임직원 면책 등 우선 시행 가능한 6개 과제에 대해 비조치의견서 등 발급을 완료한 상태다.
신규자금 공급시 자산건전성을 정상으로 분류하는 방안 등 나머지 과제들도 이달 말까지 완료한다는 목표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대주단 협약 개정과 신디케이트론 조성, 경·공매 기준 확대, 캠코펀드 우선매수권 도입, 추가 공사비에 대한 추가 보증 등도 차질 없이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금융권 또한 자체 노력에 속도를 내고 있다.
저축은행권은 지난 3월 330억원 규모의 1차 '부실채권 정리펀드'를 전액 집행하고, 4천600억원 이상의 2차 펀드 조성을 추진 중이다.
여전업권 또한 1천600억원 수준으로 만든 '1차 PF 정상화 지원 펀드'를 이달 중 전액 집행할 예정이며, 2천600억원 규모의 2차 펀드도 조성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금융권 부동산PF 대출 연체율 현황에 대해서도 논의했다.
올해 3월 말 기준 금융권 부동산PF 대출 연체율은 3.55%로, 지난해 말 대비 0.85%포인트(p) 올랐다.
같은기간 증권사 연체율은 3.84%p 상승한 17.57%를, 저축은행도 4.3% 상승한 11.26%를 나타냈다.
금융당국은 본PF 전환이 상당기간 지연된 브릿지론 예상손실을 100% 인식한 점과, 부실 PF 사업장 정리에 시간이 필요했던 점 등이 복잡적으로 영향을 줬다고 보고 있다.
다만, 여전히 관리 가능한 수준이라는 게 참석자들의 대체적인 평가다.
건전성이 양호한 은행과 보험사가 PF대출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데다, 과거 위기 국면과 비교할 때 연체율 수준이 여전히 낮은 수준이라는 게 이유다.
또 PF대출의 만기도래가 특정 시점에 집중되지 않고 고르게 분포돼 있는 점 등을 고려하면 시스템 리스크로 전이될 가능성도 낮다고 보고 있다.
금융당국은 "연체율이 높은 증권과 저축은행의 경우 높은 자본비율과 상당한 충당금을 이미 적립한 상황"이라며 "향후 추가적인 손실이 발생해도 관리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고 진단했다.
jwon@yna.co.kr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