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메프 사태' 제4인뱅 선정에 악재되나
(서울=연합인포맥스) 정원 윤슬기 기자 = 큐텐그룹 산하 티몬과 위메프가 유동성 위기에 빠지면서 '소상공인'을 타깃으로 한 제4인터넷전문은행 설립 추진에 동력이 떨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금융당국은 당초 계획한 일정대로 인가 여부를 검토하겠다는 입장이지만, 금융시장 변동성이 급격히 커지고 있는 데다 티몬·위메프 사태로 소상공인을 주고객으로 삼고 사업계획을 구상중인 제4인뱅 컨소시엄에 대한 부정적 시각이 확대될 수 있다는 전망도 있다.
6일 금융권에 따르면 인터넷전문은행 3사(카카오·케이·토스뱅크)의 개인사업자대출(사업자대출) 잔액은 올해 3월 말 기준 3조8천966억원을 기록했다.
토스뱅크가 1조6천994억원으로 가장 많고, 카카오뱅크과 케이뱅크도 각각 1조1천481억원과 1조491억원을 기록했다.
법인대출 취급이 어려운 인터넷은행의 기업대출 잔액은 모두 사업자대출로 구성돼 있는데 문제는 이들의 대출 연체율이 급등하고 있다는 점이다.
올해 1분기 말 기준 카카오·케이·토스뱅크 등 3개 인터넷은행이 개인사업자에게 내준 대출에서 한 달 이상 상환이 미뤄진 연체액의 비율은 평균 1.84%로 전년 동기 대비 1.19%포인트(p) 높아졌다.
인터넷은행별로 보면 토스뱅크의 개인사업자 대출 연체율이 3.07%로 같은 기간 대비 2.21%p 오르며 최고를 기록했다.
케이뱅크 역시 1.15%로 해당 수치가 1.09%p 상승했다. 카카오뱅크의 개인사업자 대출 연체율은 0.64%를 나타냈다.
고금리가 장기간 이어지면서 대출 이자가 쌓였고, 이로 인해 차주들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는 상황에서 중·저신용자들을 중심으로 대출 영업을 해온 인터넷은행의 특성이 자영업자 여신 건전성에서도 드러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여기에 티몬·위메프 미정산 사태로 최대 피해자인 이커머스(전자상거래) 셀러 등의 유동성 위기까지 더해지면서 인터넷은행 사업자대출 자산건전성 우려는 더욱 커졌다.
금융당국에 따르면 티몬·위메프의 지난달 25일 기준 정산기일이 이미 지난 정산지연금은 2천134억원이다.
8~9월이 정산시점인 6~7월 거래분이 정산지연금으로 집계되면 그 규모는 더 커질 전망된다.
판매업체들이 판매 대금을 받지 못하는 상황이 장기화 될 경우 소상공인들의 줄도산이 이어질 것이라는 우려까지 나오는 상황이다.
이 때문에 '중소상공인 특화 은행'을 표방하는 제4인터넷은행에 대한 금융당국의 인가 여부에 회의적인 시각이 높다.
국민통합위원회는 신규 인터넷은행 설립의 방향성을 기존 은행과 인터넷은행이 포용하지 못했던 중소기업, 소상공인을 위한 특화된 '소상공인 특화 은행'으로 세웠는데, 최근 건전성 우려가 커진 데다 수익성 측면에서도 지속가능한 사업모델인지 의문이라는 것이다.
은행권 관계자는 "신용평가 모델을 정교하게 해도 티몬·위메프 사태와 같은 이슈가 터지면 건전성 관리가 안되니 대손비용 때문에 은행 경영이 안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일반 시중은행들의 경우 소상공인 이슈가 있어도 가계랑 대기업에서 수익성 커버가 가능하지만 특정 테마형 인뱅은 커버 가능한 분야가 없는 데다 기존 인터넷은행처럼 가계 대출도 취급할 경우 차별성이 없다보니 당국 입장에서도 인가 여부에 고심하고 있지 않겠나"라고 말했다.
다만, 금융당국은 기존 일정대로 연내 제4인터넷은행 선정 절차에 들어가겠다는 원론적인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일단 금융위원장이 하반기에 관련 절차를 시작하겠다는 점을 인사청문회에서 밝힌 바 있는 만큼 최대한 스케쥴을 지켜서 인가 여부를 진행할 것"이라면서도 "다만 티몬·위메프 사태에 자본시장 변동성 등 현안이 많아 쉽지 않은 상황이라 기술적으로도 준비를 잘 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sgyoo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