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분기 가계신용, 3분기 만에 최대 증가…주담대 16兆↑

2024-08-20     김정현 기자

(서울=연합인포맥스) 김정현 기자 = 올해 2분기 전체 가계신용(빚)이 3분기 만에 최대폭 증가했다.

부동산 시장이 꿈틀거리자 은행권 주택담보대출(주담대) 증가세가 확대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신용카드 이용 규모가 확대되면서 판매신용도 증가 전환했다.

20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4년 1/4분기 가계신용(잠정)'에 따르면 올해 2분기 말 가계신용 잔액은 1천896조2천억 원으로 전 분기 말 대비 13조8천억 원 증가했다.

지난 1분기 3조1천억 원 감소에서 1분기 만에 증가 전환한 것이다. 증가 폭은 지난해 3분기(+17.1조원) 이후 가장 컸다.

가계신용은 가계가 은행·보험사·대부업체·공적 금융기관 등에서 받은 대출에 결제 전 카드 사용 금액(판매신용)까지 더한 '포괄적 가계 빚(부채)'을 말한다.

가계대출 잔액은 1천780조 원으로 전 분기 말 대비 13조5천억 원 증가했고, 판매신용 잔액은 116조2천억 원으로 3천억 원 증가했다.

상품별로는 대체로 증가 폭이 확대하거나 감소 폭이 축소됐다.

주담대 잔액은 전기 대비 16조 원 증가한 1천92조7천억 원을 기록했다. 지난 1분기 12조4천억 원에 비해 증가 규모가 확대됐다.

주택매매 거래가 증가하며 주담대 잔액도 확대됐다. 전국 주택 매매거래량은 2분기 17만1천 호로 지난 1분기(13.9만호) 대비 늘었다.

신용대출을 포함한 기타대출 잔액은 2조5천억 원 줄어든 687조2천억 원을 기록했다. 전분기(-13.2조원)보다 감소세가 크게 줄어들었다.

창구별로 살펴보면, 예금취급기관 가운데 예금은행 가계신용 잔액은 전 분기 말 대비 17조3천억 원 증가한 936조5천억 원이었다. 주담대 증가 규모가 확대되고 기타대출도 증가전환했다.

비은행예금취급기관의 가계신용 잔액은 3조9천억 원 줄어든 306조 원을 나타냈다.

기타금융기관 등은 1천억 원 증가한 537조5천억 원을 나타냈다. 지난 1분기 4조 원 증가에서 2분기 1천억 원 증가로 증가폭이 축소했다. 주택도시기금 대출이 은행재원을 중심으로 실행된 영향이 컸다.

김민수 한은 금융통계팀장은 "지난 2010~2019년중 분기 평균 가계신용 증가율이 20조 원을 소폭 웃돈다는 점을 고려하면 2분기 증가세는 높지 않은 수준"이라면서도 "경각심을 갖고 관련 기관들과 면밀히 살펴보고 있다"고 말했다.

한국은행

jhkim7@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12시 00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