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금융, 현 경영진 제재 시사에 당혹…어디까지 튈지 촉각

2024-08-25     정원 기자

"당국 조사에 적극 협조"

우리금융 본점
[우리금융지주 제공]

(서울=연합인포맥스) 정원 기자 =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손태승 전 우리금융지주 회장의 친인척에 대한 수백억원대 부당 대출과 관련해 현 경영진 '책임론'을 직접 거론하자 우리금융 내부가 크게 술렁이고 있다.

이번 사고는 단순히 손 전 회장이 연루됐는 지 여부를 넘어, 임종룡 우리금융 회장과 조병규 우리은행장에게도 금융사고 미보고와 후속 대응절차 미비에 대한 책임이 있다는 게 금감원의 판단이다.

우리금융 측은 크게 당황하면서도 말을 아끼는 분위기다.

우리금융은 "금융당국의 조사와 수사당국의 수사에 최대한 협조하겠다"는 기존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25일 금감원에 따르면 우리은행 여신감리부는 지난해 9월께 손 전 회장의 친인척에게 대출이 대거 이뤄진 사실을 현 우리은행 경영진에 보고했다.

지주 경영진 또한 지난 3월 감사결과와 관련한 안건을 보고받았다.

결국 임 회장과 조 행장 또한 내부 보고가 진행됐던 시점인 지난해 말과 올해 초까지 관련 사실을 인지했을 것이라는 게 금감원의 판단이다.

특히, 금감원은 인지시점에 여신 심사소홀 등의 이유 외에 범죄혐의가 있었다는 것을 알았다면 첫 내부 보고 시점인 4분기 중 공시의무가 발생한 것으로 봐야한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이후 우리금융의 대응은 이해하기 어려웠다는 평가다.

특히 우리금융·은행 경영진들은 손 전 회장 친인척에 대한 대규모 부적정 대출 취급 사실을 인지하고도 이사회에도 보고하지 않았다.

오히려 이후 언론에서 관련 사건을 다루는 과정에서도 보고해야 하는 종류의 금융사고가 아니었다는 해명만 지속했다.

다만 금감원의 입장은 명확하다.

이 원장은 "법상 할 수 있는 권한들을 최대한 가동해서 제재 절차를 진행할 계획"이라며 "지금 보이는 것만으로는 대상이 누가 될 지 모르겠지만 법상 보고해야 하는 게 제때 보고 안된 게 명확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누군가는 책임져야 한다. 개별건에 대한 대응도 문제이나 금융지주 회장과 은행장 등 고위 내부자의 윤리의식 등을 국민들이 수용할 수 있을지, 금감원이 무엇을 할 수 있을지 봐야할 시점"이라고도 했다.

은행권에선 감독당국이 유리금융 현 경영진에 대한 책임을 묻겠다는 의지를 강하게 드러낸 것으로 보고 있다.

우리금융은 일단 관련 조사에 성실하게 임하겠다는 입장을 밝히면서도, 현 경영진에 대한 제재 가능성이 미칠 파장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앞서 우리은행은 2020년 4월 3일부터 올해 1월 16일까지 4년간 손 전 회장의 친인척, 친인척이 실제 자금사용처로 의심되는 차주에게 총 20개 업체를 대상으로 616억원 규모의 대출을 실행했다.

이 중 취급액 350억원은 대출심사와 사후관리 과정에서 통상의 기준, 절차를 따르지 않고 부적정하게 취급된 것으로 알려졌다.

*그림2*

jwo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15시 54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